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시행 2023. 6. 28.] [대통령령 제33554, 2023. 6. 20., 일부개정]

1장 총칙

1(목적) 이 영은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조의2(저공해자동차 등의 종류) ① 「대기환경보전법(이하 이라 한다) 2조제16호 각 목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자동차를 말한다. <개정 2023. 6. 20.>

1. 1종 저공해자동차: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배출허용기준에 맞는 자동차로서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2조제3, 4호 및 제6호에 따른 전기자동차, 태양광자동차 및 수소전기자동차

2. 2종 저공해자동차: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배출허용기준에 맞는 자동차로서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2조제5호에 따른 하이브리드자동차

3. 3종 저공해자동차: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배출허용기준에 맞는 자동차로서 법 제74조제1항에 따른 제조기준에 맞는 자동차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

법 제2조제16호의2 각 목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같은 조 제13호의2가목에 따른 건설기계(이하 건설기계라 한다) 중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건설기계를 말한다. <신설 2023. 6. 20.>

1. 전기건설기계: 건설기계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배출허용기준에 맞는 건설기계로서 전기 공급원으로부터 충전받은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건설기계

2. 수소전기건설기계: 건설기계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배출허용기준에 맞는 건설기계로서 수소를 사용하여 발생시킨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건설기계

[본조신설 2020. 3. 31.]

[제목개정 2023. 6. 20.]

[종전 제1조의2는 제1조의3으로 이동 <2020. 3. 31.>]

1조의3(환경위성 관측망의 구축ㆍ운영 등) 환경부장관은 법 제3조의2에 따른 환경위성 관측망(이하 환경위성 관측망이라 한다)의 효율적인 구축ㆍ운영 및 정보의 수집ㆍ활용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개정 2020. 3. 31.>

1. 대기환경 및 기후ㆍ생태계 변화유발물질의 감시와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환경위성의 개발

2. 환경위성 지상국의 구축ㆍ운영

3. 환경위성 관측 자료의 수집ㆍ생산, 분석 및 배포

4. 환경위성 관측 자료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자료 검증 및 개선사업

5. 환경위성 관측망의 구축ㆍ운영 및 정보의 수집ㆍ활용을 위한 연구개발

6. 환경위성 관측망의 구축ㆍ운영 및 정보의 수집ㆍ활용을 위한 관련 기관 또는 단체와의 협력

7. 그 밖에 환경위성 관측망의 효율적인 구축ㆍ운영 및 정보의 수집ㆍ활용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환경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관계 기관의 장에게 관련 자료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본조신설 2016. 7. 26.]

[1조의2에서 이동, 종전 제1조의3은 제1조의4로 이동 <2020. 3. 31.>]

1조의4(대기오염도 예측ㆍ발표 대상 등) 법 제7조의23항에 따른 대기오염도 예측ㆍ발표의 대상 지역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고려하여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개정 2016. 7. 26.>

1. 대기오염의 정도

2. 인구

3. 지형 및 기상 특성

법 제7조의23항에 따른 대기오염도 예측ㆍ발표의 대상 오염물질은 환경정책기본법12조에 따라 환경기준이 설정된 오염물질 중 다음 각 호의 오염물질로 한다. <개정 2019. 2. 8.>

1. 미세먼지(PM-10)

2. 초미세먼지(PM-2.5)

3. 오존(O3)

법 제7조의23항에 따른 대기오염도 예측ㆍ발표의 기준과 내용은 오염의 정도 및 오염물질의 인체 위해정도 등을 고려하여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환경부장관은 대기오염도 예측ㆍ발표를 위하여 관계 기관의 장에게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관계 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

[본조신설 2014. 2. 5.]

[1조의3에서 이동, 종전 제1조의4는 제1조의5로 이동 <2020. 3. 31.>]

1조의5(국가 대기질통합관리센터의 지정 대상기관) 법 제7조의31항에서 국공립 연구기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문기관이란 다음 각 호의 기관으로서 대기환경 분야에 전문성 있는 기관을 말한다.

1. 국공립 연구기관

2.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정부출연연구기관

[본조신설 2014. 2. 5.]

[1조의4에서 이동, 종전 제1조의5는 제1조의6으로 이동 <2020. 3. 31.>]

1조의6(통합관리센터의 지정기준) 법 제7조의31항에 따른 국가 대기질통합관리센터(이하 통합관리센터라 한다)의 지정기준은 별표 1과 같다.

[본조신설 2016. 3. 29.]

[1조의5에서 이동, 종전 제1조의6은 제1조의7로 이동 <2020. 3. 31.>]

1조의7(통합관리센터의 지정 절차) 환경부장관은 법 제7조의31항에 따라 통합관리센터를 지정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지정계획, 일정 및 지정기준 등을 10일 이상 관보 또는 환경부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하여야 한다.

법 제7조의31항에 따라 통합관리센터로 지정받으려는 전문기관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지정신청서(전자문서로 된 신청서를 포함한다)에 다음 각 호의 서류(전자문서로 된 서류를 포함한다)를 첨부하여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대기오염예보 절차 등이 포함된 예보업무 추진계획서

2. 대기오염 관련 자료를 활용한 조사연구 실적을 증명하는 서류

3. 시설ㆍ장비 및 기술인력을 증명하는 서류

환경부장관은 법 제7조의31항에 따라 통합관리센터를 지정한 경우에는 해당 기관에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지정서를 발급하고, 그 사실을 환경부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하여야 한다.

[본조신설 2016. 3. 29.]

[1조의6에서 이동, 종전 제1조의7은 제1조의8로 이동 <2020. 3. 31.>]

1조의8(통합관리센터의 지정 취소 기준 등) 통합관리센터의 지정 취소 및 업무정지의 세부기준은 별표 12와 같다.

[본조신설 2016. 3. 29.]

[1조의7에서 이동 <2020. 3. 31.>]

2(대기오염경보의 대상 지역 등) 법 제8조제4항에 따른 대기오염경보의 대상 지역은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ㆍ도지사라 한다)가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지정하는 지역으로 한다. <개정 2013. 1. 31., 2014. 2. 5., 2016. 7. 26.>

법 제8조제4항에 따른 대기오염경보의 대상 오염물질은 환경정책기본법12조에 따라 환경기준이 설정된 오염물질 중 다음 각 호의 오염물질로 한다. <개정 2012. 7. 20., 2014. 2. 5., 2019. 2. 8.>

1. 미세먼지(PM-10)

2. 초미세먼지(PM-2.5)

3. 오존(O3)

법 제8조제4항에 따른 대기오염경보 단계는 대기오염경보 대상 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하되, 대기오염경보 단계별 오염물질의 농도기준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4. 2. 5., 2019. 2. 8.>

1. 미세먼지(PM-10): 주의보, 경보

2. 초미세먼지(PM-2.5): 주의보, 경보

3. 오존(O3): 주의보, 경보, 중대경보

법 제8조제4항에 따른 경보 단계별 조치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사항이 포함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의 대기오염 발생 특성 등을 고려하여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ㆍ특별자치도의 조례로 경보 단계별 조치사항을 일부 조정할 수 있다. <개정 2013. 1. 31., 2014. 2. 5.>

1. 주의보 발령 : 주민의 실외활동 및 자동차 사용의 자제 요청 등

2. 경보 발령 : 주민의 실외활동 제한 요청, 자동차 사용의 제한 및 사업장의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 등

3. 중대경보 발령 : 주민의 실외활동 금지 요청, 자동차의 통행금지 및 사업장의 조업시간 단축명령 등

2조의2 삭제 <2022. 3. 25.>

2조의3 삭제 <2022. 3. 25.>

3 삭제 <2023. 6. 20.>

4 삭제 <2023. 6. 20.>

5 삭제 <2023. 6. 20.>

6 삭제 <2023. 6. 20.>

6조의2 삭제 <2023. 6. 20.>

7 삭제 <2023. 6. 20.>

7조의2 삭제 <2023. 6. 20.>

8 삭제 <2023. 6. 20.>

9 삭제 <2023. 6. 20.>

10 삭제 <2023. 6. 20.>

 

2장 사업장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규제

11(배출시설의 설치허가 및 신고 등) 법 제23조제1항에 따라 설치허가를 받아야 하는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이하 배출시설이라 한다)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2. 7. 20., 2015. 12. 10., 2016. 3. 29., 2021. 10. 14.>

1. 특정대기유해물질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준 이상으로 발생되는 배출시설

2. 환경정책기본법38조에 따라 지정ㆍ고시된 특별대책지역(이하 특별대책지역이라 한다)에 설치하는 배출시설. 다만, 특정대기유해물질이 제1호에 따른 기준 이상으로 배출되지 아니하는 배출시설로서 별표 13에 따른 5종사업장에 설치하는 배출시설은 제외한다.

법 제23조제1항에 따라 제1항 각 호 외의 배출시설을 설치하려는 자는 배출시설 설치신고를 하여야 한다.

법 제23조제1항에 따라 배출시설 설치허가를 받거나 설치신고를 하려는 자는 배출시설 설치허가신청서 또는 배출시설 설치신고서에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환경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한다. <개정 2013. 1. 31., 2014. 2. 5., 2015. 12. 10., 2019. 7. 16., 2021. 10. 14.>

1. 원료(연료를 포함한다)의 사용량 및 제품 생산량과 오염물질 등의 배출량을 예측한 명세서

2. 배출시설 및 대기오염방지시설(이하 방지시설이라 한다)의 설치명세서

3. 방지시설의 일반도(一般圖)

4. 방지시설의 연간 유지관리 계획서

5. 사용 연료의 성분 분석과 황산화물 배출농도 및 배출량 등을 예측한 명세서(법 제41조제3항 단서에 해당하는 배출시설의 경우에만 해당한다)

6. 배출시설 설치허가증(변경허가를 신청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법 제23조제2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이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5. 12. 10.>

1. 법 제23조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설치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받거나 변경신고를 한 배출시설 규모의 합계나 누계의 100분의 50 이상(1항제1호에 따른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시설의 경우에는 100분의 30 이상으로 한다) 증설. 이 경우 배출시설 규모의 합계나 누계는 배출구별로 산정한다.

2. 법 제23조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설치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받은 배출시설의 용도 추가

법 제23조제2항에 따른 변경신고를 하여야 하는 경우와 변경신고의 절차 등에 관한 사항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

환경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는 법 제23조제1항에 따라 배출시설 설치허가를 하거나 배출시설 설치신고를 수리한 경우(법 제23조제6항에 따라 신고를 수리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에는 배출시설 설치허가증 또는 배출시설 설치신고증명서를 신청인에게 내주어야 한다. 다만, 법 제23조제2항에 따라 배출시설의 설치변경을 허가한 경우에는 배출시설 설치허가증의 변경사항란에 변경허가사항을 적는다. <개정 2013. 1. 31., 2015. 12. 10., 2019. 7. 16.>

환경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는 법 제23조제9항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같은 조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허가 또는 변경허가의 조건으로 붙일 수 있다. <신설 2021. 10. 14.>

1. 배출구 없이 대기 중에 직접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나 악취, 소음 등을 줄이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 사항

2. 배출시설의 법 제16조나 제29조제3항에 따른 배출허용기준 준수 여부 및 방지시설의 적정한 가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 사항

12(배출시설 설치의 제한) 법 제23조제8항에 따라 환경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가 배출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0. 12. 31., 2013. 1. 31., 2019. 7. 16.>

1. 배출시설 설치 지점으로부터 반경 1킬로미터 안의 상주 인구가 2만명 이상인 지역으로서 특정대기유해물질 중 한 가지 종류의 물질을 연간 10톤 이상 배출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연간 25톤 이상 배출하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2. 대기오염물질(먼지ㆍ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만 해당한다)의 발생량 합계가 연간 10톤 이상인 배출시설을 특별대책지역(법 제22조에 따라 총량규제구역으로 지정된 특별대책지역은 제외한다)에 설치하는 경우

[제목개정 2013. 1. 31.]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대기환경보전법[시행 2024. 7. 24.]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2. 12. 1.]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 2023.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