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17의 게시물 표시

층간소음공해 저감을 위한 층간차음재 개발 및 현장적용 평가

이미지
층간소음공해 저감을 위한 층간차음재 개발 및 현장적용 평가 저자명 정갑철 소속기관 (주)에스아이판 문서유형 동향/연구보고서발행정보 에스아이판 |2014년 |한국어 서지링크 KISTI <초록> 최종목표 층간소음에 따른 사회적 불만, 스트레스 및 정신적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바닥충격음 저감성능과 물성 및 형상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변경된 완충재의 성능기준과 현장 시험성능을 충족하는 혼합형 완충재의 실용화 개발내용결과 층간 차음재에 관한 각종 규격, 문헌 및 해외 기술에 대한 조사 기존 제품의 물성 및 특성 조사 및 층간소음 현장 실태 조 시작품 설계와 샘플 제조를 위한 금형 제작 시작품을 통한 완충재 물성시험 및 성능시험 최종 개발품의 설계 및 샘플 제작 최종 개발품의 물성 시험 및 최종 개발품의 방향설정 성능 향상을 위한 시공 품질 확보 방안 수립 최종 개발품에 대한 물성 시험 및 공인시험 기관의 성적서 확보 최종 개발품 층간소음 차단 인정구조 획득 및 현장 평가 핵심기술 변경된 바닥충격음 완충재 성능기준 만족 및 현장에 따른 성능편차가 적은 층간 차음재 개발 기술개발배경 2011년도에 층간소음에 대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공동 실태 조사 결과, 법적 기준의 충족율이 25~50%에 불과하여 층간 소음 문제가 여전한 것으로 확인됨. 또한 층간소음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매년 3-4건의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장애와 임신부의 유산 등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는등 층간소음은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은 문제임 핵심기술의의 현재 인정받은 200여가지 바닥충격음 차단인정구조 중에서 표준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의 인정을 획득하여 성능을 확보한 제품은 당사의 제품을 비롯하여 단 몇 종류에 제품에 불과하고, 그중에서도 건축구조의 특성상 내력벽이 없어서 구속도가 낮은 이유로 층간 소음 차단성능 확보가 가장 어려운 무량판구조의 인정완충재는 단 4개 제품 뿐임. 이는 현장과 시험실과

그린리모델링 기숙사의 물리적환경 변화와 거주자평가

이미지
그린리모델링 기숙사의 물리적환경 변화와 거주자평가 Physical Environment Change and Occupancy Evaluation on Green-Remodeled University Dormitory 저자명 최윤정, 이호연, 이현정, 김원배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8(1) 37-44 2234-3571 KCI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7년 |한국어 주제분야사회과학 > 가정학  서지링크 KISTI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university dormitory remodeled toward energy efficiency. The study has its purpose on deriving the aspects to be concerned for later green remodeling and enhancing the effects of green remodeling, by analyzing the changes of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of energy consumption amount, and needs of the resi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went through the review of project report from government office for green remodeling, field investigation of remodeling elements, and the occupancy evaluation by Focus Group Interview. FGI means interviewing small group of the residents who lived in the subjected dormitories both before and after the remodeling. As results, the elements of

공동주택에서 외피단열성능기준 강화에 따른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변화에 관한 연구

이미지
공동주택에서 외피단열성능기준 강화에 따른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Changes by Enhance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 Standards in Apartment Houses 저자명 조영욱, 박선효, 정광섭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설비공학논문집 제29권 제2호 (2017년 2월 발행정보 대한설비공학회 |2017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기타공학 <초록>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primary heating energy consumption of regional apartment houses based on the enhance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 standards. The difference of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based on the enhance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 standards in the southern region, the largest regional difference in primary heating energy consumption, is $10.3kWh/(m^2{\cdot}year)$. The difference of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based on the enhance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 standards in the central region is $8.0{\sim}8.5kWh/(m^2{\cdot}year)$ and that of the Jeju region is

친환경 고효율의 가정용 복합발전인버터 디자인컨설팅

이미지
친환경 고효율의 가정용 복합발전인버터 디자인컨설팅 저자명 이강희 문서유형 동향/연구보고서 발행정보 디투알커뮤니티 |2011년 |한국어 서지링크 KISTI  <초록> 개발목표 - 산업용 제품의 이미지를 벗어나 사용자에게 안전한 이미지를 줄수 있도록  디자인 개발. - 사용자 친화적인 느낌을 줄수 있도록 밝은 색상과 감성적인 이미지를 구현. - 전면부에 LCD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동작상황을  파악할수 있도록 디자인 개발 - 벽걸이형과 스텐드형을 동시에 만족시켜주는 디자인 개발 개발결과 - 산업용 제품의 이미지를 벗어나서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임으로써, 경쟁제품 간에 차별화된 디자인을 갖음. - 열배출을 위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위해 3개의 팬을 배치한 구조(상측,중간,하측) - 사용 환경에 따라 벽걸이 타입과 스탠드 타입이 가능한  탈부착 스탠드 구조 - 사용환경(실내, 실외, 공사현장, 공공 시설물)에 따라  다양한 칼라를 적용할 수 있으며, 후가공에 따라 고가  형 디자인과 중저가 형 디자인으로 구분 할 수 있음. - LCD윈도우와 LED를 통한 직관적 사용성 강조한 디자  인을 개발함. 적용분야 - 일반 가정용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 - 산업용, 제조현장의 친환경에너지원 활용 - 공공기관의 녹생성장산업을 위한 구조물, 시설물설치시  전원공급시스템 - 산간, 오지, 군부대 등 소외지역의 원활한 전원공급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 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

탄소성적표시 건축 재료의 환경 효율성 분석 연구 : 바닥 마감재를 중심으로

이미지
탄소성적표시 건축 재료의 환경 효율성 분석 연구 : 바닥 마감재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zing Eco-efficiency of Carbon Labeled Building Materials - Focused on Floor Finishes 저자명 최지혜, 이윤선, 김재준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22건 학술지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5권 제2호 (2014. 4) pp.71-78 2234-3571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4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가정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 학지사 뉴논문 , 한국연구재단 <초록> 유엔기후변화협약을 시작으로 온실가스배출 감소와 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202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3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고, 그 중 건설업의 감축목표량은 0.23백만 톤 CO2e로 7.1%의 감축목표가 설정되었다.건축물의 환경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건축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와 소비 에너지를 줄이는 것이 우선시되어야하며, 현재 지속가능한 건축 재료 개발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이러한 산업과 학계에서의 연구결과들이 실제 국민 경제의 가치창출활동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에서는 녹색제품의 구매를 촉진해왔다.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2012년 공공기관에서 녹색제품 구매 또는 사용으로 저감한 이산화탄소(CO2)는 약 49만 1000 톤으로 추산되며, 이를 경제적 편익으로 환산하면 약 74억 원의 이득효과를 얻었다고 하였다.민간 소비자들의 녹색구매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도2009년부터 탄소성적표지 제도가 도입되어왔다. 그러나 에서 보듯이 최근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소비자들이 환경문제에 심각성을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탄소 제품 등의 구매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조사되었다.현재 탄소성적표지제도는 탄소발생량 정보만을 표시하고 있는

ISO 13790 기반 패시브하우스 에너지 해석 프로그램 에너지샵(Energy#) 소개

이미지
ISO 13790 기반 패시브하우스 에너지 해석 프로그램 에너지샵(Energy#) 소개 저자명 배성호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설비저널 45(9) 56-64 1229-6430 KCI 발행정보 대한설비공학회 |2016년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기타공학  서지링크 KISTI ,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 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그린리모델링 사업 활성화를 위한 발주방식 제안

이미지
그린리모델링 사업 활성화를 위한 발주방식 제안 The Study on the Project Delivery System for Vitalizing the Green Remodeling 저자명 남성훈, 김경래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8(2) 발행정보 한국건설관리학회 |2017년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공학 > 토목공학  서지링크 KISTI ​ <초록> 내 공공건축물은 총 17만 7천여 동으로 이중 15년 이상 경과하여 노후화가 진행 중인 건물이 전체 건물 수의 약 74% 달한다. 노후화된 건물로 인하여 에너지 손실이 심각한 실정이다. 노후화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수선 및 설비 교체를 통한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최근에 개정된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에서는 그린리모델링을 기존 공공건축물에 적용 활성화하고자 한다. 하지만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대한 업무의 범위, 재원 마련 방안 및 발주 방식에 대한 기준이 뚜렷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그린리모델링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기존 건축생산 과정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업무를 기준으로 그린 리모델링 업무를 정의하였으며, 건축주 및 사업자가 재원을 마련 할 수 있는 방안 및 그린리모델링 업무 구분에 따른 발주 패키지를 도출하여 낙찰자 결정 방식 및 대가지급 방식 등을 제안하였다. Aging buildings over 15 years reaches about 74% of 177 thousand buildings in Domestic public buildings. Due to the aging building, the energy loss is a serious pro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