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1차에너지소비인 게시물 표시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저감이GDP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저감이GDP에 미치는 영향 저자 이우평, 강상목, 이명헌 소속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인하대학교 학술지정보 신재생에너지 발행정보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8년 자료제공처 NRF 주제분야 공학 > 자원공학 #확률변경분석 , #신재생에너지 , #에너지 , #기본계획 ​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Korean GDP would be affected by long term governmental energy and renewabletargets based on the time varying efficiency of the SFA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with international panel statistics. Theefficiencies of Korea were estimated to be 0.43~0.51. Korea has potential for efficiency improvement considering its distance from thefrontier. According to the simulation, 16,692 million dollars of GDP loss can occur from fulfilling the energy and renewable targetuntil 2035. On the other hand, if the efficiency increases as estimated, the loss will be surpassed; 264,692 million dollars of GDP willbe added even considering the loss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energy plan can cause some GDP loss, but the loss would beacceptable if efficienc

우리나라 1차 에너지와 최종 에너지 소비 변화요인 분해 비교분석

이미지
우리나라 1차 에너지와 최종 에너지 소비 변화요인 분해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Decomposition Analyses for Primary and Final Energy Consumption of Korea ​ 저자 박성준, 김진수 학술지정보 자원·환경경제연구 발행정보 한국자원경제학회 2014년 자료제공처 KISTI 한국학술정보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초록> 그 동안 에너지 소비 변화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상당수의 연구에서 최종 에너지를 기준으로 분해분석을 수행, 에너지 소비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집약도, 구조, 생산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러나 최종 에너지를 기준으로 할 경우 많은 전환 손실이 발생하는 전력 부문으로 인하여 정확한 소비량 변화 요인의 규명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력 소비 위주로 변화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반영하여 에너지 소비 변화 요인을 살펴보고자 1차 에너지 소비를 기준으로 지수분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방법론으로는 Refined Laspeyres 모형과 LMDI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1차 에너지 소비량을 기준으로 분해분석 한 결과와 최종 에너지를 기준으로 분해분석 결과의 차이가 점차 커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최종 에너지를 기준으로 분석 한 결과 1981년 대비 2011년 집약도 효과는 0.607배 감소, 구조 효과는 0.227배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1차 에너지를 기준으로 분해분석 한 결과를 보면 집약도 효과가 0.236배 감소하고, 구조 효과가 0.434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분해분석 연구 수행에 있어서는 반드시 1차 에너지를 기준으로 분석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a lot of studies to identify the driving forces of energy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