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생태환경인 게시물 표시

조경관점의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대한 방향 정립

이미지
조경관점의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대한 방향 정립 A Study on the Right Direction of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Architecture 저자명 차욱진, 남정칠, 양건석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한국조경학회지 제44권 제4호 통권176호 (2016년 8월) 45-56 1225-1755  발행정보 한국조경학회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농수해양 > 조경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712 ㅎ155) , KISTI 본 연구는 현재 시행 중인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의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평가 기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아울러 2012년 11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3년간 녹색건축통합운영시스템(G-SEED)에서 인증 받은 총 78개의 건축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 시행 중인 녹색건축 인증제도에 대해 네 가지의 논점을 도출하였다. 논점 1, 조경분야의 평가항목인 생태분야는 이산화탄소 저감에 확실한 성과를 보이는 항목이다. 이에 생태분야는 8개의 건축물에서 필수평가 항목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논점 2, 조경분야는 전문성이 매우 뛰어난 분야이다. 타 분야에서 조경분야를 평가한다는 것은 올바른 평가를 저해하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생태분야의 평가는 조경전문가에 의한 평가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타 항목 중 "기존대지의 생태학적 가치"의 평가와 같은 조경분야와 밀접한 항목의 평가는 조경분야에서도 평가에 참여하여야 한다. 논점 3, 조경 식재에 의한 에너지 저감 및 온도저감의 우수성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졌다. 이에 조경 식재의 에너지 저감에 대한 평가항목이 추가되어야 한다. 논점 4, 유지 관리분야에 수목관리항목이 신설되어야 한다. 2013년 "녹색건축조성지원법"이

학교 시설 친환경건축물인증 사례를 통한 생태환경 평가항목 분석

이미지
학교 시설 친환경건축물인증 사례를 통한 생태환경 평가항목 분석 A Study on the Ecology of Education Facilities 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저자명권영철, 최창호문서유형학술논문참고문헌6건인용된횟수 도움말2건학술지설비공학논문집 제22권 제2호 (2010년 2월) pp.112-121 1229-6422 KCI 권호별 논문보기  발행정보 대한설비공학회 |2010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공학 > 기타공학  서지링크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97.05 ㄱ364) , KISTI , 국립중앙도서관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초록> With the global climate changes, a global concerns on building energy uses and CO₂ emission to improve the environment friendly has been increasingly growing. To achieve this global goal, the Korea government has been seeking an environment-friendl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s the results, the government starte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system. however the certificate system has still been at the basic stage. To upgrade and advance it`s level, it’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This study aims to pick out the items requiring improvement for the Ecology of Education Facilities.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국내 친환경 건축 모델하우스에 대한 비교 연구

이미지
국내 친환경 건축 모델하우스에 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for Green Building model house design in Korea 저자명    강연주, 김문덕 문서유형   학술논문인용된횟수 도움말1건학술지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6호 통권95호 (2012. 12) pp.212-223 1229-7992 KCI  발행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예술체육 > 디자인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747 ㅅ588) , DBpia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초록> The “Eco-friendly”, “Green” concepts was began around 1992 after the Rio Environmental Summit, and the ne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lobally widespread.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was began around 2000 and the concept of green building was started in the late 1990s. The green building, which welcomes a period of radical change, is for the survival of the Earth “climate change” and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 sector. In this architecture of eco-friendly concept, the green building is rapidly expanding and existing as a ecological environment preservation. Moreover, the realization of zero energy house is to mandate for new b

국내 친환경 건축 모델하우스에 대한 비교 연구

이미지
국내 친환경 건축 모델하우스에 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for Green Building model house design in Korea 저자명    강연주, 김문덕 문서유형   학술논문인용된횟수 도움말1건학술지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6호 통권95호 (2012. 12) pp.212-223 1229-7992 KCI  발행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예술체육 > 디자인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747 ㅅ588) , DBpia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초록> The “Eco-friendly”, “Green” concepts was began around 1992 after the Rio Environmental Summit, and the ne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lobally widespread.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was began around 2000 and the concept of green building was started in the late 1990s. The green building, which welcomes a period of radical change, is for the survival of the Earth “climate change” and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 sector. In this architecture of eco-friendly concept, the green building is rapidly expanding and existing as a ecological environment preservation. Moreover, the realization of zero energy house is to mandate for new b

창원지역 빗물의 계절변화 및 저류시간에 따른 수질변화

이미지
창원지역  빗물의 계절변화 및 저류시간에 따른 수질변화 Seasonal Variation and Storage Period of Rainwater Quality in Changwon 저자명   한치복, 이택순 문서유형   학술논문참고문헌9건인용된횟수 도움말3건학술지대한환경공학회지 제32권 제5호 발행정보   대한환경공학회 |2010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28 ㄷ242) , KISTI , 한국학술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본 연구는 창원시 지역의 빗물의 계절적 수질변화와 저류조의 경과일수에 따른 수질 변화를 조사 연구하였다. 빗물의 계절적 수질 변화를 보면 전체적인 오염물질의 농도는 봄철 및 겨울철이 높았다. 내리는 빗물과 저류조 빗물의 수질을 비교하였을 때 pH의 경우, 내리는 빗물은 pH 4.3, 저류조의 빗물은 pH 6.0을 나타내었고, 탁도의 경우는 1.82 NTU에서 14.61 NTU로 대략 8배 정도로 크게 증가하였다. 저류조의 경과 일수에 따른 수질 변화는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이 초기 강우에서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고, 증발잔류물은 초기우수에서 116 mg/L 검출되었으나 저류시간 6일 경과 후부터 34일까지는 70~80 mg/L로 저류시간이 길어져도 농도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variation of rainwater quality by seasonal and storage duration of rainwater in Changwon city. Seasonally, the pollutants concentration of rainwater were higher in spring and winter. In the case of rainwater and storage rainwater quality, pH of rainwater was 4.3, storage rainwaters were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