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생태면적률인 게시물 표시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 중 조경평가기준에 따른 생태면적률 산정의 개선방안 연구

이미지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 중 조경평가기준에 따른 생태면적률 산정의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Biotops Area Ratio Calculation in the Housing Performance Grading Indication System ​ 저자 장대희, 김현수 소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학술지정보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발행정보 대한건축학회 2008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NRF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 <초록>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s in the performance of multi-family housing worldwide. It is a way of considering occupants more than before. Consumers are attaching importance to good performance as well as economic value of housing. The Housing Performance Grading Indication System is an effective system to improve housing performance and satisfy consumers' requirements. However, in operation of this system, several problems have been appeared, especially in the Biotops Area Ratio which is an assessment standard of landscape grading in the system. This study examines closely the problem occurring in calculation of Biotops Area Ratio and suggests complement method

환경영향평가서에 나타난 개발사업의 생태면적률 검토 연구

이미지
환경영향평가서에 나타난 개발사업의 생태면적률 검토 연구 Analysis of Biotope Area Ratio in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 저자 이상돈 소속 이화여자대학교 학술지정보 환경영향평가 발행정보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년 자료제공처 한국학술정보 NRF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초록> 본 연구는 환경영향평가의 생태면적률의 인구, 지역, 사업 유형, 총 사업면적에 따른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생태면적률은 총대지면적 중 생태적 기능이 있는 토지면적의 비율로, 생태계 보존과 개발된 단지에서 생활하는 시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에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환경영향평가에서는 가중치가 고려된 생태면적과 총 사업면적의 비로 생태면적률을 산출하며, 각 사업 유형 별로 최소 목표 생태면적률을 제시하여 최소한의 생태면적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경향성에 대한 평가는 도시의 개발,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 조성, 관광단지 개발, 폐기물처리시설 및 분뇨처리시설의 설치 사업 등 총 4가지 사업에 대하여 총 55개의 표본을 근거로 하였다. 본 연구는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인구에 대한 고려가 반영된 척도, 사업빈도와 지역 전체를 고려한 생태면적률 조정, 그리고 최소달성치 달성 여부에 대한 규제 강화를 통해 현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이후로 더 많은 수의 데이터를 포함한 광범위한 연구와, 구체적 제도개선에 대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Tendency in ratio of biotope area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ccording to population, location, project type, and total project area was analyzed by type of the projects. According to EIA, biotope area ratio is the ra

친환경인증학교의 생태면적률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이미지
친환경인증학교의 생태면적률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Condition Analysis of Biotope Area Rate in Certified Environmental-Friendly Schools ​ 저자  강은주 학술지정보  교육시설:한국교육시설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교육시설학회 2009년 피인용횟수  2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교육 >  교육학 <초록> Biotope area rate and ecological environment planning for school campuses are closely related, and we can say that ecological environment of a school that has high biotope area rate is of high ecological value. Taking that into account,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have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ecological environment plan for environment-friendly schools and the biotope area rate, and we are going to come up with a method how we can increase ecological value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biotope area rate in a school campus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biotope area rate of certified environmental-friendly schools.  Biotope area rate and ecological environment planning for school campuses are c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생태면적률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단지내 일조조건 분석을 중심으로

이미지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생태면적률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단지내 일조조건 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f Improving the Biotope Area Ratio System for Urban Agriculture Vitalization - Focus on Daylight Condition Analysis- 저자명 이건원, 정윤남, 민병학, 김세용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2) 7393-7402 1975-4701 KCI   발행 정보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년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공학일반  서지링크 KISTI  본 연구는 최근에 높아지고 있는 도시농업 요구에 건축, 도시분야가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 법제도적 장치로서 기존에 활용도가 높은 생태면적률의 개선에 주목한 연구이다. 기존의 생태면적률은 여러 작물생장조건 중 토심과 투수만을 다룬 지표로 조경식재 등의 관리에는 활용될 수 있으나 도시농업의 주요요소인 작물을 다루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설을 증명하고 그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실제로 생태면적률 지표만으로 작물생장까지를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실제 단지계획상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생태면적률에 빠져 있는 작물생장 조건 중 가장 중요한 일조를 중심으로 생태면적률 개선의 가능성 및 개선 방향을 타진했다는 점에서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the Biotope Area Ratio, which has existing availability as a legal and institutional method for the architectural and urban fields to respond rapidly to recently growing demands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