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18의 게시물 표시

초고층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실험에 관한 연구

이미지
초고층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실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ergency Stairway Evacuation of Skyscraper 저자 백민호, 신호준 소속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학술지정보 한국방재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방재학회 2010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국립중앙도서관 한국연구재단 NRF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  자연과학 >  지구과학 ​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물의 정의, 초고층 건물의 건설동향을 시대 순으로 정리하여 특징과 흐름을 알아보았다. 초고층건물의 건설이 늘어나는 추세에서 화재발생시 비상계단을 이용한 피난의 유형을 6가지로 정하고 각각의 유형별 실증실험을 실시하였다. 초고층 건물의 화재발생을 고려한 비상계단의 대피에 따른 어려움을 실험 참가자들의 시간 측정 및 정성적인 평가를 통해 각각의 장애요소들을 정리하여 초고층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정리하였다. In this study, the construction trend of skyscraper was summarized chirologicall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and the issue in evacua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case of fire breakout in skyscraper. Based on this, the type of evacuation using the emergency stairway during the fire breakout in skyscraper was decided on six types and empir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each type. The issues on the participants that participated in the emergency stairway evacuation exper

소각재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제조

이미지
소각재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제조 Preparation of Multi-functional Brick Using MSWI Fly Ash 저자 반효진, 박은주, 이우근 소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학술지정보 대한환경공학회지 KCI 발행정보 대한환경공학회 2009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국립중앙도서관 한국연구재단 NRF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각재와 하수슬러지, 용융슬래그 등을 이용하여 기존의 벽돌을 대신 할 수 있는 건축외장재를 제조하고,사용 재료의 혼합비와 소성온도 등 적정 제작 조건을 도출하고자 한다. 외장재 제조는 재료를 각 비율별로 성형하여 상온과 160℃에서 각각 24시간 동안 건조 후 1,080~$1,130^{\circ}C$에서 2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소성한 다음 제조한 외장재 시편의 압축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하였으며, 소각재의 함유량이 적을수록, 용융슬래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외장재 제조 적정조건은 소각재 : 용융슬래그 : 하수슬러지 : 점토의 비율이 10 : 20 : 5 : 65로 제조된 시편을 $1,115^{\circ}C$에서 소성한 시편의 압축강도가 41 MPa 이상으로 나타나 외장재로서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한 외장재의 중금속 용출실험결과 환경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advance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 lot of waste has been discharged and treated by incineration. But fly and bottom ashes are generated in this process. In addition, the treatment method to recycle sewage sludge and melting sl

대형건물내 비고형 석면함유 건축자재에 의한 기중 석면오염 및 관리실태

이미지
대형건물내 비고형 석면함유 건축자재에 의한 기중 석면오염 및 관리실태 Asbestos Content in Friable Sprayed-on Surface Material and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in Commercial Buildings ​ 저자 김현욱 학술지정보 한국산업보건학회지 발행정보 한국산업보건학회 1995년 자료제공처 KISTI 의학연구정보센터 한국학술정보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  의약학 >  보건학 <초록> Twenty(20) large commercial buildings located in Seoul with friable sprayed-on surface insulation material on ceilings were investigated for asbestos content in bulk material by polarized light microscopy and for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in buildings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In addition, such building-related variables as building age, numbers of traffic, airflow, surface conditions of the cei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studied for any correlation with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hrysotile asbestos was found in two bulk samples with 3-5% content and with <1 0.0033="" 0.0063="" 0.0068="" 16="" 2.

도시환경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 도시 업무용 건물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이미지
도시환경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 도시 업무용 건물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The Image and Visual Preference for Urban Setting : Focused on Outdoor Spaces of Urban Office Buildings ​ 저자 이선화, 김유일, 서주환 학술지정보 한국조경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조경학회 1998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주제분야 농수해양 >  조경학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ajor determinants of visual preference in the outdoor spaces of urban office buildings. For this, the spatial image was analyzed by the factor analysis algorithm. The level of visual preferences was measured by a slide simulation test,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the multiple regressioni.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actors covering the spatial image were found to be 'mystery','changeability','coherence' and 'legibility'. T.V. was obtained as 58.4%. Outdoor spaces of urban office building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 multi dimensional scaling method. As for the analysis of imageability in

개발조건이 공동주택단지 녹지공간의 계획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미지
개발조건이 공동주택단지 녹지공간의 계획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Development Conditions and Physical Quality Indicators of Gre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 저자 김기수 학술지정보 생태환경건축 발행정보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7년 자료제공처 KISTI 주제분야 자연과학 >  생태학 ,  공학 >  건축공학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the physical quality indicators of gre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through the case study of 36 housing estate samples which were built in 1994-1998.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gre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The second part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Development Conditions and Physical Quality Indicators of Green Space.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ite planning methods which increase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apartment housing

블랙아웃예방 차원의 전력수급을 고려한 친환경주택 건설

이미지
블랙아웃예방 차원의 전력수급을 고려한 친환경주택 건설 저자 조휘만, 박승희 ​소속 LH공사 본사 사업부 부장, 성균관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교수 학술지정보 한국방재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방재학회 2014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  자연과학 >  지구과학 <목차> 블랙아웃예방 차원의 전력수급을 고려한 친환경주택 건설 / 조휘만 ; 박승희 1 서론 1 본론 2 1. 에너지시용량 정보확인시스템 설치 2 2. 대기전력자동차단장치의 설치 3 3. 일괄소등스위치의 설치 4 4. 조명 5 결론 5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 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

생태적 실내건축 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이미지
생태적 실내건축 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guideline of the Eco-Design in Interior Architecture ​ 저자 조현미 학술지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KCI 발행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0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주제분야 예술체육 >  디자인 ​ <초록>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 개념을 실내건축 디자인에 실천하기 위한 일종의 지침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생태건축의 개념을 적용한 변화과정을 정리해 보고 21세기의 디자이너가 그 개념을 실천하기 위한 시방상의 지침을 재료선정의 관점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As the environmental paradigm is the major issue today, the guideline of the ecological design in the interior architectural field is needed. One on the knowledge necessary to plan the ecological interior architecture as a designer is the spectification related factors for planning, which should be applied in materialistic matters. In this paper, the knowledge of materials and products needed to design interior space considering the ecological factors is studied. And, a guideline for the eco-design is investigated for the expression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erception. <목차> 생태적 실내건축 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 조현미 1 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