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지리정보시스템인 게시물 표시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지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저자명  강정은, 이명진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35건 인용된횟수 도움말4건 학술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5권 제3호 통권56호 (2012년 9월) pp.119-136 1226-9719 KCI 발행정보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지역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912.0285 ㅎ155) , KISTI , 한국학술정보 , 한국연구재단 ​<초록> 본 연구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시한 기후변화 취약성 개념을 서울시에 적용, 적정 홍수 취약성 지표 산정 및 퍼지모형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분야 중 홍수취약성을 평가하고 GIS를 이용하여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지표는 기후노출(일 최대 강수량, 일강수량 80m 이상인 날 수), 민감도(침수지역, 경사, 지질, 고도,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지형, 토양 및 불투수면적) 및 적응능력(홍수조절능력, 자연녹지, 공원녹지) 등의 자료이며, 이를 GIS 기반의 공간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표값들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퍼지모형을 활용했으며, 퍼지소속값 결정을 위해서는 빈도비를 활용하였다. 2010년 침수 발생 자료를 활용하여 항목들간의 상관관계 및 퍼지소속값을 산정하였으며, 2011년 침수 발생 지역으로 작성된 취약성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지역 홍수피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수, 하천과의 거리, 불투 수층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최대강수량이 269mm 이상일 때 적응능력(유수지, 녹지)이 부족하고, 고도가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지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저자명 강정은, 이명진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35건 인용된횟수 도움말4건 학술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5권 제3호 통권56호 (2012년 9월) pp.119-136 1226-9719 KCI 발행정보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지역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912.0285 ㅎ155) , KISTI , 한국학술정보 , 한국연구재단 ​<초록> 본 연구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시한 기후변화 취약성 개념을 서울시에 적용, 적정 홍수 취약성 지표 산정 및 퍼지모형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분야 중 홍수취약성을 평가하고 GIS를 이용하여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지표는 기후노출(일 최대 강수량, 일강수량 80m 이상인 날 수), 민감도(침수지역, 경사, 지질, 고도,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지형, 토양 및 불투수면적) 및 적응능력(홍수조절능력, 자연녹지, 공원녹지) 등의 자료이며, 이를 GIS 기반의 공간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표값들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퍼지모형을 활용했으며, 퍼지소속값 결정을 위해서는 빈도비를 활용하였다. 2010년 침수 발생 자료를 활용하여 항목들간의 상관관계 및 퍼지소속값을 산정하였으며, 2011년 침수 발생 지역으로 작성된 취약성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지역 홍수피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수, 하천과의 거리, 불투 수층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최대강수량이 269mm 이상일 때 적응능력(유수지, 녹지)이 부족하고, 고도가

GIS를 이용한 지하광산 디젤 차량의 운반작업 시 탄소배출량 산정

이미지
GIS를 이용한 지하광산 디젤 차량의 운반작업 시 탄소배출량 산정 Calculation of a Diesel Vehicle's Carbon Dioxide Emissions during Haulage Operations in an Underground Mine using GIS        ​ 저자명 박보영, 박세범, 최요순, 박한수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터널과지하공간 제25권 제4호 통권117호 (2015. 8)  발행정보 한국암반공학회 |2015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자원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 한국연구재단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지하광산 현장에서 운영되는 디젤 차량의 탄소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국내 지하 석회석 광산 한 곳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고, 연구 지역의 운반도로를 3차원 벡터 네트워크 형식으로 표현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탄소배출계수의 계산을 위해 운반도로의 각 구간별로 대형 디젤 차량인 덤프트럭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운반도로 각 구간별로 계산된 탄소배출계수와 GIS 기반의 최적 경로분석을 통해 결정된 트럭의 운반거리를 고려하여 운반작업과 관련한 디젤 차량의 탄소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다. 광업 분야에서 디젤 차량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광산 현장의 탄소배출량 산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to calculate carbon dioxide emissions of diesel vehicles operated in an underground min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An underground limestone mine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