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공기오염인 게시물 표시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시행 2021. 7. 14.]

이미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시행 2021. 7. 14.] [시행 2021. 7. 14] [대통령령 제31847호, 2021. 6. 29, 일부개정] 환경부(총괄, 법령개정사항-대기환경정책과) 044-201-6879, 6866 환경부(운행차-교통환경과) 044-201-6933, 6930 환경부(저공해자동차 보급-대기미래전략과) 044-201-6890 환경부(냉매-기후전략과) 044-201-6650 환경부(총량규제-대기관리과) 044-201-6902, 6908 환경부(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배출시설, 방지시설-대기관리과) 044-201-6905, 6906 환경부(배출부과금-대기관리과) 044-201-6909 환경부(연료-교통환경과) 044-201-6926, 6927 환경부(대기환경정책과) 044-201-6865 환경부(비산배출, 휘발성유기화합물, 특정대기유해물질, 비산먼지-대기관리과) 044-201-6914, 6904 환경부(제작차[자동차, 이륜차]-교통환경과) 044-201-6924 환경부(제작차[선박 등 비도로]-교통환경과) 044-201-6926, 6927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영은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조의2(저공해자동차의 종류) 「대기환경보전법」(이하 “법” 이라 한다) 제2조제16호 각 목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자동차를 말한다. 1. 제1종 저공해자동차: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배출허용기준에 맞는 자동차로서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 제4호 및 제6호에 따른 전기자동차, 태양광자동차 및 수소전기자동차 2. 제2종 저공해자동차: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배출허용기준에 맞는 자동차로서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제5호에 따른 하이브리드자동차 3. 제3종 저공해자동차: 자동차에서

부평역에서의 공기중 석면 노출 실태 및 인식도 조사

이미지
부평역에서의 공기중 석면 노출 실태 및 인식도 조사 A Study on asbestos fibers and the notice of inhabitant in the Bu-pyung station ​ 저자 변상훈, 주종순, 손종렬 학술지정보 환경위생공학 발행정보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003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의학연구정보센터 주제분야 의약학 > 보건학 ​ <초록> Asbestos is composed of long thin fibers approximately diameter $0.02\mu\textrm{m}$ and flexibility, strength, electrical, thermal conditions. The most common asbestos are : Chrysotile(white), Crocidolite(Blue), Amosite(Brown). Asbestos was first introduced in the Korea in 1960 and installation of these products continue through the late 1970's and even the early 1980's. Bu-pyung basement stores in Korea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25 to October 26, 200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worker-exposure to asbestos, comparing to the standards and to research notice of inhabitants about asbestos. Fifteen personal samples and six areas were collected using Gillian Air Sampler.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각층 공조방식이 적용된 병실에 있어서 공기오염의 확산 및 제거

이미지
각층 공조방식이 적용된 병실에 있어서 공기오염의 확산 및 제거 Airborne Contaminant Dispersion in the Ward Area of a Hospital Air-conditioned by Multi Zone VAV Systems 저자 성민기, 카토신스케, 김종훈 소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he University of Tokyo, 동경대학교 건축학과 학술지정보 한국생활환경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생활환경학회 2012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NRF 주제분야 사회과학 >  가정학 <초록> This study verified the hazard of contaminant dispersion using an experiment in a hospital where multi zone variable air volume (VAVs) systems were being operated for multiple ward area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aminant released in a source ward was dispersed to all other wards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lthough the concentration were decreased through dilution with outdoor air. Then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measured in the ward area where was occupied by pati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urces of airborne microbes were in the ward and they were assumed to be patients. However, the microbes were successfully removed by the air filters

의료기관 실내공기 측정의 융합적 평가

이미지
의료기관 실내공기 측정의 융합적 평가 Convergence Evaluation of Indoor Air Measurement in Medical Institution ​ 저자명 이유희, 최유진, 최정옥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 발행정보 한국융합학회 |2017년 |한국어 주제분야 복합학 > 학제간연구  서지링크 KISTI <초록> 본 연구는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의료기관의 실내공기질을 조사하여 관리실태를 파악하고 장소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를 융합적으로 분석하여 세부적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의료기관 153개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조사하여 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CO2), 포름알데하이드(HCHO), 총부유세균(TAB), 일산화탄소(CO)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 산출평균은 유지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항목별 최대값은 PM10이 91%, $CO2가 97%, HCHO가 96%, TAB가 99%에 해당하여 기준에 매우 근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동인구와 관련하여 측정 장소를 다르게 하여 측정한 결과는 각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보였다. PM10은 로비에서 $61.80{\pm}9.66{\mu}g/m^2$, $CO2는 복도에서 $632.08{\pm}112.86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HCHO는 입원실이 $21.88{\pm}17.03{\mu}g/m^2$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와 CO는 복도에서 각각 $634.08{\pm}46.41 CFU/m^2$와 $0.81{\pm}0.66ppm$으로 가장 높았다. 5곳의 측정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의료기관 실내공기는 불특정 다수인들이 수시로 출입가능하며 환자들이 주로 생활하는 시설적 특징을 충분히 고려하여 보다 세밀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