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물암석반응인 게시물 표시

부곡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 : 유황형 지열수의 생성과정 재해석

이미지
부곡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 : 유황형 지열수의 생성과정 재해석 Geochemical Evolution and Deep Environment of the Geothermal Waters in the Bugok Area: Reconsideration on the Origin of Sulfate-type Geothermal Water ​ 저자 고용권 소속 한국원자력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원자력연구소, 한구권자력연구소, 고려대학교 학술지정보 자원환경지질 발행정보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1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교보문고 NRF 주제분야 자연과학 > 지구과학 , 공학 > 자원공학 , 공학 > 환경공학 ​ ​ <초록> 국내에서 가장 높은 용출온도를 보이는 경남 부곡 지열수에 대하여 Yun et al.(1998)에 의하여 기존에 발표된 수리화학 및 동위원소 자료를 토대로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과정을 재해석하였다. 부곡 지열수는 지화학적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진다(지열수I,II,III형). 지열수I형과II형은 높은 온도(55.2~$77.2^{\circ}C$)를 보이며, 화학적으로 Na-SO4형에 속하지만, pH와 Eh가 다소 차이가 나며, SO4함량이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 지열수 중심지역으로부터 외곽부에서 산출되는 지열수 III형은 29.3~$47.0^{\circ}C$의 용출온도를 보이며, Na-$HCO_3SO_4$형을 나타낸다. 지열수 I형에 대하여 다성분계 지질온도계의 적용결과는 심부저장지의 온도가 115~130℃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양한 지화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부곡 지열수의 지화학적 진화과정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첫째, 부곡지역보다 높은 지형에서 함양된 지하수가 심부로 순환하게 되면서, 퇴적암 또는 심부의 화강암과 물-암석 반응이 진행된다. 이때 퇴적층에 함유되어 있던 황산염 광물의 용해반응으로 지하수는

부곡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 : 유황형 지열수의 생성과정 재해석

이미지
부곡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 : 유황형 지열수의 생성과정 재해석 Geochemical Evolution and Deep Environment of the Geothermal Waters in the Bugok Area: Reconsideration on the Origin of Sulfate-type Geothermal Water ​ 저자 고용권 소속 한국원자력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원자력연구소, 한구권자력연구소, 고려대학교 학술지정보 자원환경지질 발행정보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1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교보문고 NRF 주제분야 자연과학 > 지구과학 , 공학 > 자원공학 , 공학 > 환경공학 ​ #지열수 , #심부환경 , #지화학적진화 , #유황형지열수 , #경남부곡 , #물암석반응 , #지화학적진화과정 , #환원작용 , #녹색건축인증연구소 ​ <초록> 국내에서 가장 높은 용출온도를 보이는 경남 부곡 지열수에 대하여 Yun et al.(1998)에 의하여 기존에 발표된 수리화학 및 동위원소 자료를 토대로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과정을 재해석하였다. 부곡 지열수는 지화학적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진다(지열수I,II,III형). 지열수I형과II형은 높은 온도(55.2~$77.2^{\circ}C$)를 보이며, 화학적으로 Na-SO4형에 속하지만, pH와 Eh가 다소 차이가 나며, SO4함량이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 지열수 중심지역으로부터 외곽부에서 산출되는 지열수 III형은 29.3~$47.0^{\circ}C$의 용출온도를 보이며, Na-$HCO_3SO_4$형을 나타낸다. 지열수 I형에 대하여 다성분계 지질온도계의 적용결과는 심부저장지의 온도가 115~130℃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양한 지화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부곡 지열수의 지화학적 진화과정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첫째, 부곡지역보다 높은 지형에서 함양

부곡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 : 유황형 지열수의 생성과정 재해석

이미지
부곡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 : 유황형 지열수의 생성과정 재해석 Geochemical Evolution and Deep Environment of the Geothermal Waters in the Bugok Area: Reconsideration on the Origin of Sulfate-type Geothermal Water ​ 저자 고용권 소속 한국원자력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원자력연구소, 한구권자력연구소, 고려대학교 학술지정보 자원환경지질 발행정보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1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교보문고 NRF 주제분야 자연과학 > 지구과학 , 공학 > 자원공학 , 공학 > 환경공학 ​ ​ <초록> 국내에서 가장 높은 용출온도를 보이는 경남 부곡 지열수에 대하여 Yun et al.(1998)에 의하여 기존에 발표된 수리화학 및 동위원소 자료를 토대로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과정을 재해석하였다. 부곡 지열수는 지화학적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진다(지열수I,II,III형). 지열수I형과II형은 높은 온도(55.2~$77.2^{\circ}C$)를 보이며, 화학적으로 Na-SO4형에 속하지만, pH와 Eh가 다소 차이가 나며, SO4함량이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 지열수 중심지역으로부터 외곽부에서 산출되는 지열수 III형은 29.3~$47.0^{\circ}C$의 용출온도를 보이며, Na-$HCO_3SO_4$형을 나타낸다. 지열수 I형에 대하여 다성분계 지질온도계의 적용결과는 심부저장지의 온도가 115~130℃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양한 지화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부곡 지열수의 지화학적 진화과정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첫째, 부곡지역보다 높은 지형에서 함양된 지하수가 심부로 순환하게 되면서, 퇴적암 또는 심부의 화강암과 물-암석 반응이 진행된다. 이때 퇴적층에 함유되어 있던 황산염 광물의 용해반응으로 지하수

부곡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 : 유황형 지열수의 생성과정 재해석

이미지
부곡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 : 유황형 지열수의 생성과정 재해석 Geochemical Evolution and Deep Environment of the Geothermal Waters in the Bugok Area: Reconsideration on the Origin of Sulfate-type Geothermal Water ​ 저자 고용권 소속 한국원자력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원자력연구소, 한구권자력연구소, 고려대학교 학술지정보 자원환경지질 발행정보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1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교보문고 NRF 주제분야 자연과학 > 지구과학 , 공학 > 자원공학 , 공학 > 환경공학 ​ <초록> 국내에서 가장 높은 용출온도를 보이는 경남 부곡 지열수에 대하여 Yun et al.(1998)에 의하여 기존에 발표된 수리화학 및 동위원소 자료를 토대로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과정을 재해석하였다. 부곡 지열수는 지화학적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진다(지열수I,II,III형). 지열수I형과II형은 높은 온도(55.2~$77.2^{\circ}C$)를 보이며, 화학적으로 Na-SO4형에 속하지만, pH와 Eh가 다소 차이가 나며, SO4함량이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 지열수 중심지역으로부터 외곽부에서 산출되는 지열수 III형은 29.3~$47.0^{\circ}C$의 용출온도를 보이며, Na-$HCO_3SO_4$형을 나타낸다. 지열수 I형에 대하여 다성분계 지질온도계의 적용결과는 심부저장지의 온도가 115~130℃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양한 지화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부곡 지열수의 지화학적 진화과정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첫째, 부곡지역보다 높은 지형에서 함양된 지하수가 심부로 순환하게 되면서, 퇴적암 또는 심부의 화강암과 물-암석 반응이 진행된다. 이때 퇴적층에 함유되어 있던 황산염 광물의 용해반응으로 지하수는 다량의 S

부곡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 : 유황형 지열수의 생성과정 재해석

이미지
부곡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 : 유황형 지열수의 생성과정 재해석 Geochemical Evolution and Deep Environment of the Geothermal Waters in the Bugok Area: Reconsideration on the Origin of Sulfate-type Geothermal Water ​ 저자 고용권 소속 한국원자력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원자력연구소, 한구권자력연구소, 고려대학교 학술지정보 자원환경지질 발행정보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1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교보문고 NRF 주제분야 자연과학 > 지구과학 , 공학 > 자원공학 , 공학 > 환경공학 ​ #지열수 , #심부환경 , #지화학적진화 , #유황형지열수 , #경남부곡 , #물암석반응 , #지화학적진화과정 , #환원작용 , #녹색건축인증연구소 ​ <초록> 국내에서 가장 높은 용출온도를 보이는 경남 부곡 지열수에 대하여 Yun et al.(1998)에 의하여 기존에 발표된 수리화학 및 동위원소 자료를 토대로 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과정을 재해석하였다. 부곡 지열수는 지화학적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진다(지열수I,II,III형). 지열수I형과II형은 높은 온도(55.2~$77.2^{\circ}C$)를 보이며, 화학적으로 Na-SO4형에 속하지만, pH와 Eh가 다소 차이가 나며, SO4함량이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 지열수 중심지역으로부터 외곽부에서 산출되는 지열수 III형은 29.3~$47.0^{\circ}C$의 용출온도를 보이며, Na-$HCO_3SO_4$형을 나타낸다. 지열수 I형에 대하여 다성분계 지질온도계의 적용결과는 심부저장지의 온도가 115~130℃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양한 지화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부곡 지열수의 지화학적 진화과정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첫째, 부곡지역보다 높은 지형에서 함양된 지하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