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건강성능지표인 게시물 표시

공동주택의 건강성능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이미지
공동주택의 건강성능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Healthy Housing Quality of Multi-Family Housing ​ 저자 조성희, 강나나 학술지정보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KCI KCI Candidate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1년 피인용횟수 3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학지사 뉴논문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사회과학 >  가정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에서 건강한 주거환경 수준을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건강성능 지표개발에 있다. 이를 위해 평가지표의 체계를 설정하고 평가항목과 평가척도를 제안하였으며, 그를 바탕으로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함으로써 항목간의 중요도가 반영된 공동주택 건강성능 평가지표로 개발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공동주택 주거환경의 건강수준을 파악 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서의 의의를 가지며, 평가결과는 공동주택의 건강성 향상 방안의 모색 뿐 아니라 건강한주거환경 관리를 위한 지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that measure the healthy housing condition of multi-family housing.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healthy housing was defined by physical, mental, social, and management aspects and proposed the conceptual model of hierarchy structure of evaluation of healthy housing by literature reviews. Second, evaluating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

BIM 기반 지능형 건축 및 단지저작 도구 개발 기술

이미지
BIM 기반 지능형 건축 및 단지저작 도구 개발 기술 저자 김영태 발행정보 버츄얼빌더스 2008년 자료제공처 KISTI 주제분야 농수해양 <초록> (가) 평가목적 본 평가는 버츄얼빌더스(주)가 소유하고 있는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여 금액으로 산정하는 것이며, 동 평가의 주요 목적은 국토해양부 R&D 정책 인프라사업 ‘기술가치평가 및 사업화 기획 지원 과제의 평가에 활용하는 데 있다. (나) 평가대상기술 평가 대상 기술은 지리 공간정보를 캐드 데이터로 읽고 이를 BIM 기반 데이터 모델로 통합하여 사용자가 실내외 공간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운영관리 솔루션으로서 공간맵(MAP)정보를 활용하여 RFID/USN 등 IT 응용접목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다) 평가방법 본 평가에서는 평가대상기술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기 위하여 수익접근법을 적용하였다. 수익접근법은 평가대상기술자산의 미래 수익칭출 능력에 초점을 둔 방식으로, 평가대상기술로부터 발생하는 미래현금흐름의 현재 가치 합계에 기술기여도를 곱하여 기술의 가치를 산정한다. 본 평가는 2008년 9월 30일을 평가기준일로 하였고, 2008년 8월 12일부터 2008년 9월 19일까지 수행되었다. (라) 평가의 주요 조건 및 가정 1. 매출액추정 ${\circ}$ 시장점유율 추정방법을 기본으로 하며 기업 사업전략 및 과거 매출고려 2. 기술의 경제적수명주기 ${\circ}$ 기술수명 영향요인(정성적 지표)에 대한 정량화 평가지표 활용 3. 재무제표추정 ${\circ}$ 기술수명주기 내 5년까지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5년 이후에는 정률성장을 가정하여 잉여현금흐름추정에 반영 4. 할인율 및 기술기여도 ${\circ}$ IT 및 건축 관련 기술에 해당하는 값을 도출후 이를 산술평균한 값을 사용 5. 기술기여도 ${\circ}$ 개별기술강도 - 개별기술강도표에 따라 전문가가 평가하여 값을 산정 (마) 평가결과 요약 추정치 또는 결과 * 기술의 경제적 수명

공동주택의 건강성능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이미지
 공동주택의 건강성능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Healthy Housing Quality of Multi-Family Housing ​ 저자 조성희, 강나나 학술지정보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KCI KCI Candidate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1년 피인용횟수 3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학지사 뉴논문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사회과학 >  가정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에서 건강한 주거환경 수준을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건강성능 지표개발에 있다. 이를 위해 평가지표의 체계를 설정하고 평가항목과 평가척도를 제안하였으며, 그를 바탕으로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함으로써 항목간의 중요도가 반영된 공동주택 건강성능 평가지표로 개발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공동주택 주거환경의 건강수준을 파악 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서의 의의를 가지며, 평가결과는 공동주택의 건강성 향상 방안의 모색 뿐 아니라 건강한주거환경 관리를 위한 지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that measure the healthy housing condition of multi-family housing.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healthy housing was defined by physical, mental, social, and management aspects and proposed the conceptual model of hierarchy structure of evaluation of healthy housing by literature reviews. Second, evaluating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