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퍼지모형인 게시물 표시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지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저자명  강정은, 이명진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35건 인용된횟수 도움말4건 학술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5권 제3호 통권56호 (2012년 9월) pp.119-136 1226-9719 KCI 발행정보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지역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912.0285 ㅎ155) , KISTI , 한국학술정보 , 한국연구재단 ​<초록> 본 연구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시한 기후변화 취약성 개념을 서울시에 적용, 적정 홍수 취약성 지표 산정 및 퍼지모형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분야 중 홍수취약성을 평가하고 GIS를 이용하여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지표는 기후노출(일 최대 강수량, 일강수량 80m 이상인 날 수), 민감도(침수지역, 경사, 지질, 고도,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지형, 토양 및 불투수면적) 및 적응능력(홍수조절능력, 자연녹지, 공원녹지) 등의 자료이며, 이를 GIS 기반의 공간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표값들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퍼지모형을 활용했으며, 퍼지소속값 결정을 위해서는 빈도비를 활용하였다. 2010년 침수 발생 자료를 활용하여 항목들간의 상관관계 및 퍼지소속값을 산정하였으며, 2011년 침수 발생 지역으로 작성된 취약성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지역 홍수피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수, 하천과의 거리, 불투 수층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최대강수량이 269mm 이상일 때 적응능력(유수지, 녹지)이 부족하고, 고도가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지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저자명 강정은, 이명진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35건 인용된횟수 도움말4건 학술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5권 제3호 통권56호 (2012년 9월) pp.119-136 1226-9719 KCI 발행정보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지역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912.0285 ㅎ155) , KISTI , 한국학술정보 , 한국연구재단 ​<초록> 본 연구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시한 기후변화 취약성 개념을 서울시에 적용, 적정 홍수 취약성 지표 산정 및 퍼지모형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분야 중 홍수취약성을 평가하고 GIS를 이용하여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지표는 기후노출(일 최대 강수량, 일강수량 80m 이상인 날 수), 민감도(침수지역, 경사, 지질, 고도,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지형, 토양 및 불투수면적) 및 적응능력(홍수조절능력, 자연녹지, 공원녹지) 등의 자료이며, 이를 GIS 기반의 공간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표값들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퍼지모형을 활용했으며, 퍼지소속값 결정을 위해서는 빈도비를 활용하였다. 2010년 침수 발생 자료를 활용하여 항목들간의 상관관계 및 퍼지소속값을 산정하였으며, 2011년 침수 발생 지역으로 작성된 취약성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지역 홍수피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수, 하천과의 거리, 불투 수층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최대강수량이 269mm 이상일 때 적응능력(유수지, 녹지)이 부족하고, 고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