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친환경인증제도인 게시물 표시

한국형 녹색도로인증시스템 평가요소 개발 : 고속도로 및 국도 건설단계 중심

이미지
한국형 녹색도로인증시스템 평가요소 개발 : 고속도로 및 국도 건설단계 중심 Development of Evaluation Factor of Certification System for Korean Green Road -Focused on Design/Construction Stage of Expressway and National Highway- ​ 저자 박재우, 이두헌, 구재동, 노관섭 학술지정보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CI 발행정보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년 피인용횟수 2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공학 > 토목공학  <초록> 최근 국가정책 아젠다인 '저탄소 녹색성장'은 국가의 중요한 비젼으로 전정부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으로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해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국토, 교통의 조성이 중요한 시책으로 추진되고 있다. 건설산업 부문도 예외가 아니어서 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가장 광범위한 대상인 도로시설물에 대한 녹색도 측정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그것을 기반으로 녹색도로인증제가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선진국 제도 및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국내 도로부문에 있어 적용성을 검증하여 녹색도로인증제도의 성공적인 국내 도입에 일조 하고자 한다. Recent national policy agenda of 'Low-Carbon Green Growth' has been implemented as the important vision of the country. The government has set a targe

한국형 녹색도로인증시스템 평가요소 개발 : 고속도로 및 국도 건설단계 중심

이미지
한국형 녹색도로인증시스템 평가요소 개발 : 고속도로 및 국도 건설단계 중심 Development of Evaluation Factor of Certification System for Korean Green Road -Focused on Design/Construction Stage of Expressway and National Highway- ​ 저자  박재우, 이두헌, 구재동, 노관섭 학술지정보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CI 발행정보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년 피인용횟수  2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공학 > 토목공학  <초록> 최근 국가정책 아젠다인 '저탄소 녹색성장'은 국가의 중요한 비젼으로 전정부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으로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해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국토, 교통의 조성이 중요한 시책으로 추진되고 있다. 건설산업 부문도 예외가 아니어서 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가장 광범위한 대상인 도로시설물에 대한 녹색도 측정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그것을 기반으로 녹색도로인증제가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선진국 제도 및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국내 도로부문에 있어 적용성을 검증하여 녹색도로인증제도의 성공적인 국내 도입에 일조 하고자 한다. Recent national policy agenda of 'Low-Carbon Green Growth' has been implemented as the important vision of the country. The government has set a target

학교시설 친환경인증 사례를 통한 실내 환경 평가항목 분석

이미지
학교시설 친환경인증 사례를 통한 실내 환경 평가항목 분석 A Study on the Indoor Environment Condition 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 저자 신유진, 곽문근, 최창호 학술지정보 설비공학논문집 KCI 발행정보 대한설비공학회 2010년 피인용횟수 2 주제분야 공학 > 기타공학  <초록> According to the increasing concern about health and environment, students need to study in comfort and clean environment facilities. We did field survey on 40 primary school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design and construction for the part of indoor environmental performance in the certificated green school building.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offer the important data about the indoor environment standards and performances in primary schoo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increasing concern about health and environment, students need to study in comfort and clean environment facilities. We did field survey on 40 primary school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design and construction for the part of indoor environmental performance in the

한국과 홍콩의 공동주택 친환경 인증제도의 비교분석 연구

이미지
한국과 홍콩의 공동주택 친환경 인증제도의 비교분석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for Multifamily Housing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 저자 김성화, 이재훈, 김민영학술지정보한국주거학회 논문집 KCI KCI Candidate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5년 피인용횟수 0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학지사 뉴논문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사회과학 > 가정학  <초록> 현재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기후특성이 점차 아열대성기후로 변화하고 있으며 주상복합 등으로 인해 도시의 주거건축물이 고층·고밀화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물론 홍콩과 한국은 공동주택 관련 법적 기준 및 주거 내부 공간구성에 차이가 있지만 고온 다습한 기후로 냉방에너지 부하량이 많고, 고층·고밀도의 주거환경을 일찍이 경험한 홍콩이 주거환경에서 친환경적 요소를 어떻게 도입하고 반영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논문은 홍콩의 친환경 인증제도와 한국의 녹색건축 인증제도를 비교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 홍콩의 친환경 관련 인증제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배경이나 원인을 살펴보고, 한국의 녹색건축인증 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해 제안하는 것으로 연구를 구성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신축건물을 기준으로 하였고, 용도는 공동주택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In line with the recent public concern on the environmental issues in building industry, there has been a rise in demand for a healthy, sustainable housing environment in South Korea. In order to achieve a healthy environment in resi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와 LEED의 평가항목 비교 연구 : 업무시설을 중심으로

이미지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와 LEED의 평가항목 비교 연구 : 업무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Korea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and LEED 2009 in Office Building 저자명 이현우, 최창호 소속기관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4건 학술지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제31권 제1호 (2011년 2월) pp.78-86 1598-6411 KCI 발행정보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1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기타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523.72 ㅌ363)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 한국연구재단 <초록> Recently due to the crisis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construction industry that effects a lot on nature than any other industries is essentially required to consider environment element through the life cycle. With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development,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came into force in 2002. Lots of advanced countries and Korea have been running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ut many people of Korea is getting interested in LEED. We spend too much money to get a LEED Certification. So we need to develop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