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Office인 게시물 표시

제주지역 공공업무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실태조사 연구

이미지
제주지역 공공업무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실태조사 연구 A Survey on the Barrier-Free Environment of Public Office Building in Jeju Area 저자 성기창, 박철민, 김인배 학술지정보 의료·복지 건축 KCI  발행정보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16년  자료제공처 KISTI 한국학술정보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  의약학 >  기타의약학 키 <초록> Purpose: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such as the elderly, pregnant women, infants companion and constantly increasing foreign tourists, there is a high need for implementing an environment without barriers. In terms of policy and institutional aspect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striving to create an environment without barriers and to promot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Vulnerable Pedestrians. But it is not enough to create a viable barrier-free environment. Methods: Method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general population status and installed facilities status for the disabled in Jeju. And analysis of policy research needs and level of barrier-free. By applying the barrier-free en

LEED인증 건축물 분석을 통한 실내공간의 친환경성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미지
LEED인증 건축물 분석을 통한 실내공간의 친환경성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friendly Indoor Space of Domestic Eco-certified (LEED)Building through the Cases Analysis & User's Satisfaction 저자명 나민희, 한혜련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5호 통권100호 (2013. 10) 발행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년 |기타 |한국어 주제분야 예술체육 > 디자인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 한국연구재단 <초록> 'UN 보고서'에 의하면 2050년까지 430억 명이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선진국의 도시화 비율이 인구의 50%를 차지하고 유럽과 북미의 도시화율은 70~80%에 이른다. 도시는 지구 표면의 2%에 불과한 면적이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80%, 에너지 소비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건축·건설 분야는 그 어느 분야보다 강력한 변화를 주도해야한다.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40%를 차지하는 도시의 건축물은 자원소비량과 폐기물 저감 측면에서 새로운 '건축의 기술적 대안'을 제시해야 할 환경적 책임이 있다. '건축의 기술적 대안마련'의 한 측면으로 친환경 건축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2002년부터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GBCC)를 개발‧시행하고 있으며 2011년 12월까지 2,631개의 건축물이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GBCC)을 받았다. 또한 2009년부터 2013년 4월까지 '미국'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LEED)의 인증을 국내에서 31개소 취득하였다. 그러나 &

LEED인증 건축물 분석을 통한 실내공간의 친환경성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미지
LEED인증 건축물 분석을 통한 실내공간의 친환경성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friendly Indoor Space of Domestic Eco-certified (LEED)Building through the Cases Analysis & User's Satisfaction 저자명 나민희, 한혜련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5호 통권100호 (2013. 10) 발행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년 |기타 |한국어 주제분야 예술체육 > 디자인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 한국연구재단 <초록> 'UN 보고서'에 의하면 2050년까지 430억 명이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선진국의 도시화 비율이 인구의 50%를 차지하고 유럽과 북미의 도시화율은 70~80%에 이른다. 도시는 지구 표면의 2%에 불과한 면적이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80%, 에너지 소비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건축·건설 분야는 그 어느 분야보다 강력한 변화를 주도해야한다.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40%를 차지하는 도시의 건축물은 자원소비량과 폐기물 저감 측면에서 새로운 '건축의 기술적 대안'을 제시해야 할 환경적 책임이 있다. '건축의 기술적 대안마련'의 한 측면으로 친환경 건축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2002년부터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GBCC)를 개발‧시행하고 있으며 2011년 12월까지 2,631개의 건축물이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GBCC)을 받았다. 또한 2009년부터 2013년 4월까지 '미국'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LEED)의 인증을 국내에서 31개소 취득하였다. 그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