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19의 게시물 표시

코넬 공과대학 기숙사 사례를 통한대학 기숙사의 패시브 하우스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이미지
코넬 공과대학 기숙사 사례를 통한대학 기숙사의 패시브 하우스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저자 김홍민, 오형석, 류수훈 소속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 학술지정보 교육시설:한국교육시설학회지 KCI Candidate 발행정보 한국교육시설학회 2018년 자료제공처 NRF 주제분야 교육 > 교육학 <초록> Global warming is happening now and inevitable. Everyone knows that immediate action should be taken to slow it down, but uncertain about the effective solution. Despite global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sea levels are rising gradually. In 2013, Cornell University announced the Climate Action Plan(CAP) to make the campus greener, to reduce waste, and to ensure efficient use of resources. In particular, they set a goal of reducing energy use by 2050 and making carbon emissions to zero.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ase of the master plan of Cornell Tech campus and its major buildings. Mainly, The House, faculty and student housing of Cornell Tech and the world tallest certified passive house, will be the main precedent that sho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네트워크 비교분석

이미지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네트워크 비교분석 저자 정연미, 한준 소속 중앙대학교 DAAD-독일유럽연구센터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아시아에너지환경지속가능발전연구소 객원연구원 학술지정보 ECO KCI 발행정보 한국환경사회학회 2014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NRF 주제분야 사회과학 > 사회학 , 공학 > 환경공학 ​ ​ <초록>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에 대한 연대, 갈등 정책네트워크의 정부, 기업, 시민사회의 관심과 입장, 정책행위자간 상호작용, 관계구조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134개 주요 정책행위자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 기업, 시민사회 정책행위자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찬성하였으나, 원자력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양분되어 있었다.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네트워크 모두에서 연대를 위한 상호작용이 갈등보다 활발하였다. 연결중심성 상위 10위 정책행위자들은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정부와 시민사회부문의 연대가 활발한 반면, 원자력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시민사회만 연대하는 경향이 있었고,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 모두에서 정부와의 갈등이 컸다. 결국 원자력에너지 정책은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비해 상호작용이 활발하지 않으며, 정부와 시민사회간의 갈등이 크고, 시민사회와 다른 부문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하지 않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 ​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 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 온실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이미지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 온실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Greenhous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 저자 이영동 소속 창신대학교 학술지정보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발행정보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NRF 주제분야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초록> 본 논문에서는 무선센서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각종 생장환경 정보들을 수집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온실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원격지에서 온실 시설내 내부 환경 및 시설제어시스템을 통합 제어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넓은 온실 내부의 환경 데이터 수집 및 온실 시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 온실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온실시설 제어를 통하여 실시간 원격 온실 통합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통합관리시스템을 위한 GUI 구현은 HMI기반의 시스템 모니터링부로 설계하였으며, 센서정보들은 실시간으로 통합관리시스템의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센서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음을 결과로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paper, various growth environment data collecting and monitoring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greenhouse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greenhouse control system is proposed to integrated control and management in

학교 실내공기질 및 건강 영향

이미지
학교 실내공기질 및 건강 영향 School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Effects ​ 저자 양원호 소속 대구가톨릭대학교 학술지정보 한국환경보건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환경보건학회 2009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의학연구정보센터 교보문고 NRF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 의약학 > 예방의학 ​ <초록> Indoor air quality at classrooms is of special concern since students are susceptible and indoor air problems can be so subtle that it does not always produce easily recognizable health effects. The main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ime-activity pattern of school students, to determine the sources of poor indoor air quality in schools, and to demonstrate how indoor air quality in schools causes adverse health effects such as headache, upper airway irritation, fatigue, and lethargy. Recent articles ranging from 1987-2009 related to school indoor air quality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Building-associated health effects can increase student absences from school and degrade the performance of children while in school. The reduc

레스토랑의 친환경 인증기준의 필요성과 지속가능성 방안 연구

이미지
레스토랑의 친환경 인증기준의 필요성과 지속가능성 방안 연구 The Study of Measures for Sustainability and Necessity of Environment-Friendly Qualification Standard of Restaurants ​ 저자 유주연 소속 조선이공대학교 식품영양조리과학과 학술지정보 관광연구저널 KCI 발행정보 한국관광연구학회 2015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교보문고 NRF 주제분야 사회과학 > 관광학 ​ <초록> 기후변화와 환경 파괴에 대한 세계적인 문제의식이 제기되며 환경오염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외식산업에서도 ‘환경 친화’ 혹은 ‘친환경’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식음서비스에서 가장 주된 요소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음식으로 식품의 공급은 건축, 운송과 더불어 지구 환경 오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외식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그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식품의 공급은 세계 GHG 배출의 약 30%의 책임이 있다. 이렇듯 외식산업은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외식시장의 확대로 인한 경제적 측면에서의 영향도 크기 때문에 환경적, 사회적 요구에 대한 책임이 있다. 그러므로 환경 친화적인 운영 또는 지속가능한 음식의 제공 등의 노력을 실천해야 한다. 환경 친화적 수행은 반환경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명확한 근거를 가져야 의미가 있으므로 그것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요구된다. 이런 일련의 상황에 우선되어야 하는 것이 친환경 레스토랑을 평가할 수 있는 인증기준의 마련일 것이다. 친환경 레스토랑 인증기준은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개념의 고조, 지구온난화의 심각성 대두, 지구자원의 에너지 총 매장량의 급격한 고갈현상 초래 등으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환경 친화적 식음서비스를 장려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외식산업에서 지속가능한 개발 개념 목표를 달성

건설기업의 녹색건설 경쟁력 요인에 관한 연구

이미지
건설기업의 녹색건설 경쟁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of Green Construction in Construction Firms ​ 저자 이의동, 이재욱, 김한수 소속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 학술지정보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발행정보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 공학 > 토목공학 ​ <초록> 건설산업에 있어서 녹색 또는 그린(Green)은 차세대 신 성장동력의 핵심적인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녹색건설 경쟁력을 갖추는 것은 건설기업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녹색건설 경쟁력 요인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업이 녹색건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경쟁력 요인을 발굴하고 Gap 분석 기법을 통해 경쟁력 요인의 중요도와 현 수준을 분석하여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녹색건설 경쟁력 요인에 대한 이해는 건설기업의 녹색건설 전략 수립을 위한 선행 작업이며 동시에 녹색건설 관련 정책 및 제도 수립에 있어 건설기업에게 어떤 동기부여를 해야 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녹색건설 경쟁력의 중요도와 현 수준을 분석한 결과 중요도와 비교하여 현 수준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녹색건설 경쟁력의 중요도와 현 수준 관점에서 CEO 역량 부문은 큰 격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업 역량 부문에서는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녹색건설의 R&D 전략과 녹색건설 협력업체의 보유 및 협업 역량이 중요도와 현 수준의 차이(Gap)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 In the construct

노후 도서관 건물의 제로에너지 인증을 위한진단 및 리모델링

이미지
노후 도서관 건물의 제로에너지 인증을 위한진단 및 리모델링 저자 이정훈, 김서훈, 김종훈, 류승환, 송두삼, 정학근 소속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양대학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성균관대학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학술지정보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KCI 발행정보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8년 자료제공처 NRF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초록> Most of domestic buildings have been over 15 years since their construction. The aged buildings tend to deteriorate thermal performance of envelopes and increase energy use. Therefore, green remodeling is carried out to improve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aged buildings. There were a number of cases conducted remodeling of an existing building to improve a building performance. However, it is rare to remodel an existing building to zero energy level. In addition, there is no analysis on effects and considerations for remodeling to zero energy building level, neither standard remodeling manual for references. Therefore, it is currently being remodeled based o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contractor. This study reviewed diag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