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건축재료인 게시물 표시

건축물에너지 저감을 위한 Phase change material(PCM) 적용에 대한 고찰

이미지
건축물에너지 저감을 위한 Phase change material(PCM) 적용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for Application of Phase Change Material(PCM) for Building Energy Saving ​ 저자 정수광, 전지수, 서정기, 김수민 소속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학술지정보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KCI 발행정보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1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초록> Recently, increasing the energy consumption has being environmental issue in the world. Also energy consumption ratio of building in total energy consumption is getting increasing. Therefore, development of building materials needs for energy saving. PCM (Phase change material) has a good potential because it stored heat energy as a form of latent heat during phase change. However, application of PCM as itself for building material is difficult due to its phase stability of liquid state. It can overcome through the microencapsulated PCM (MEPCM). A many studies had analyzed that PCM has good potential as application for various fields. This paper indicates the c

탄소성적표시 건축 재료의 환경 효율성 분석 연구 : 바닥 마감재를 중심으로

이미지
탄소성적표시 건축 재료의 환경 효율성 분석 연구 : 바닥 마감재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zing Eco-efficiency of Carbon Labeled Building Materials - Focused on Floor Finishes 저자명 최지혜, 이윤선, 김재준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22건 학술지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5권 제2호 (2014. 4) pp.71-78 2234-3571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4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가정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 학지사 뉴논문 , 한국연구재단 <초록> 유엔기후변화협약을 시작으로 온실가스배출 감소와 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202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3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고, 그 중 건설업의 감축목표량은 0.23백만 톤 CO2e로 7.1%의 감축목표가 설정되었다.건축물의 환경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건축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와 소비 에너지를 줄이는 것이 우선시되어야하며, 현재 지속가능한 건축 재료 개발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이러한 산업과 학계에서의 연구결과들이 실제 국민 경제의 가치창출활동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에서는 녹색제품의 구매를 촉진해왔다.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2012년 공공기관에서 녹색제품 구매 또는 사용으로 저감한 이산화탄소(CO2)는 약 49만 1000 톤으로 추산되며, 이를 경제적 편익으로 환산하면 약 74억 원의 이득효과를 얻었다고 하였다.민간 소비자들의 녹색구매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도2009년부터 탄소성적표지 제도가 도입되어왔다. 그러나 에서 보듯이 최근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소비자들이 환경문제에 심각성을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탄소 제품 등의 구매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조사되었다.현재 탄소성적표지제도는 탄소발생량 정보만을 표시하고 있는

탄소성적표시 건축 재료의 환경 효율성 분석 연구 : 바닥 마감재를 중심으로

이미지
탄소성적표시 건축 재료의 환경 효율성 분석 연구 : 바닥 마감재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zing Eco-efficiency of Carbon Labeled Building Materials - Focused on Floor Finishes 저자명 최지혜, 이윤선, 김재준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22건 학술지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5권 제2호 (2014. 4) pp.71-78 2234-3571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4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가정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 학지사 뉴논문 , 한국연구재단 <초록> 유엔기후변화협약을 시작으로 온실가스배출 감소와 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202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3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고, 그 중 건설업의 감축목표량은 0.23백만 톤 CO2e로 7.1%의 감축목표가 설정되었다.건축물의 환경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건축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와 소비 에너지를 줄이는 것이 우선시되어야하며, 현재 지속가능한 건축 재료 개발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이러한 산업과 학계에서의 연구결과들이 실제 국민 경제의 가치창출활동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에서는 녹색제품의 구매를 촉진해왔다.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2012년 공공기관에서 녹색제품 구매 또는 사용으로 저감한 이산화탄소(CO2)는 약 49만 1000 톤으로 추산되며, 이를 경제적 편익으로 환산하면 약 74억 원의 이득효과를 얻었다고 하였다.민간 소비자들의 녹색구매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도2009년부터 탄소성적표지 제도가 도입되어왔다. 그러나 에서 보듯이 최근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소비자들이 환경문제에 심각성을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탄소 제품 등의 구매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조사되었다.현재 탄소성적표지제도는 탄소발생량 정보만을 표시하고 있는

건축재료 LCI DB 기반의 공동주택 부위별 환경영향 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미지
건축재료 LCI DB 기반의 공동주택 부위별 환경영향 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gram for apartment building element based on building materials LCI DB 저자명  김낙현, 태성호, 김지훈, 이종건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16 n.6 통권82호 (Dec. 2016) 151-157 1598-3730 발행정보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720 ㅅ198) , KISTI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gram for apartment building elements,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s of the LCI DB, which can link the LCA results of building materials and buildings. Method: For this purpose, a framework for building elements was established, and several building material combinations were developed. In addition, the LCA method for quantifying environmental load emissions from the building materials of each site was applied to establish an environmental impact database of the building materi

고단열 목질 건축재료의 건물에너지 절감 기여도 평가

이미지
고단열 목질 건축재료의 건물에너지 절감 기여도 평가 Evaluation of contribution for high-insulation wood-based building materials to reduce building energy 저자명 김수민 소속기관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서유형 동향/연구보고서 발행정보 숭실대학교 |2014년 |한국어 서지링크 KISTI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 (1) 국내·외 건물 에너지 관련제도 및 열성능 평가방법 분석완료 ① 미국·영국·독일의 에너지 관련 제도 분석 ② 국내 건물에너지 관련 제도 분석 ③ 건물에너지 해석 프로그램을 동적·정적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완료하였으며 본 과제를 진행하기 윈한 최적의 프로그램을 선정 ④ 전열 성능 평가 방법 및 최적의 평가 프로그램을 선정 (2) 수종별 열전도율 데이터 베이스 구축 완료 ① 목질 수종에 따른 분류 및 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열전도율 데이터 베이스 분석 ② 시뮬레이션별 목재의 열전도율 차이에 의한 에너지 성능 분석 ③ 국내외 열관류율 측정방법 분석 ④ 약 60여종의 목재의 열전도율 DB 구축 (3) 목질재료와 비목질 재료의 열성능 비교 ①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한 건축 부위별 목재의 활용범위 조사 ② 콘크리트 구조, 목구조, 목질 마감, 비목질 마감 등의 변수를 놓고 비교를 통한 전열량 및 열교 분석 결과를 제시 (4) 목구조 재표 복합부위 열성능 계산방법 도출 ① 회귀분석 결과를 통한 회귀식을 도출 및 검증 ② 도출된 식을 통해 목구조 열관류율 계산 프로그램 개발 (5) 목질기반 고단열 실내마감재 Proto-type 제작 ① Fumed silica를 적용한 합판을 제조하여 기존 대비 30%의 단열성능 향상 ② Fumed silica를 적용한 PB을 제조하여 기존 대비 29%의 단열성능 향상 (6) 목질제품의 에너지 절감 기여도 평가 및 부위별 열성능 기준 제시 ①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의 열성능 기준에 따른 벽 부위 구성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