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Barrier인 게시물 표시

무장애 주택설계에 관한 국내외 국가표준의 비교 연구 : 현관, 침실, 거실을 중심으로

이미지
무장애 주택설계에 관한 국내외 국가표준의 비교 연구 : 현관, 침실, 거실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rrier Free Dwelling Guidelines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Focused on Entrance, Bedroom and living room ​ 저자 이호성, 최찬환, 이특구 학술지정보 의료·복지 건축 KCI 발행정보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10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의학연구정보센터 한국학술정보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  의약학 >  기타의약학 <초록> This is a comparative study mainly on foreign countries' domestic standards and laws on barrier free housing construc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dwelling of elderly friendly apartment housing. Eight countries - the United States, Germany, Canada, Switzerland,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Japan, and China - were reviewed as foreign cases. The analyzed subjects were design standards only for the disabled and the aged. To compare barrier-free guides of the eight countries, each barrier-free guide on three space units (entrance, bedroom, living room) was divided into 11 design items and 36 design factors. The comparative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설계 사례 분석: 서울역 복합환승시설을 중심으로

이미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설계 사례 분석: 서울역 복합환승시설을 중심으로 Case Study of Barrier Free Design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Focusing on Transfer Station Complex in Seoul Station ​ 저자 정상운, 노정현 학술지정보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KCI 발행정보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년 자료제공처 KISTI 주제분야 공학 >  공학일반 , transportation vulnerable, transfer facility, universal design   초록 본 연구는 고령자를 포함한 교통약자를 위한 도시설계 현황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표적인 복합환승시설인 서울역을 대상으로 시설 현황을 분석하였다. 시설 현황 분석은 교통약자를 위한 설계기법인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설계 기준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평가를 위해서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의 시설 설계 지침을 활용해 복합환승역사의 특성에 맞는 평가 리스트를 제안하고 현장 답사 및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매개시설, 내부시설과 위생시설은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이용자의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승시설과 안내시설이 매우 열악하여 교통약자가 매우 큰 불편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버스 환승에 있어 보행자와 차량 간의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았으며 이에 대한 안전 설비가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안내시설과 환승시설에 대한 편의시설 확충이 가장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교통약자를 위해 가독성과 시인성이 뛰어난 안내정보 제공을 통해 모든 이용자과 복합환승역사를 이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이 보완된다면 서울역은 교통약자의 이용 편의성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며 모든 이용자가 불편없이 이용할 수 있는 환승시설이 될 것이다. This re

어린이를 고려한 무장애공간 계획기준 및 적용실태 연구 : 어린이 재활병원의 외래부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이미지
어린이를 고려한 무장애공간 계획기준 및 적용실태 연구 : 어린이 재활병원의 외래부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Design Guidelines and Implementations of Barrier-free Space for Children : Focused on the Common Spaces of the Outpatient Clinics in Pediatric Rehabilitation Hospitals 저자명 조민정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4호 통권117호 (2016. 8) pp.113-124 1229-7992 KCI  발행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예술체육 > 디자인  서지링크 ​ 국회도서관 , KISTI <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domestic and oversea's barrier-free design guidelines provided exclusively for children and their implementations in the common spaces of the outpatient clinics in two pediatric rehabilitation hospitals in Seoul.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checklist was developed to compare various barrier-free design guidelines in consideration of children's accessibility in space. In addition, four spatial areas in the outpatient clinics of the two hospital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checklist. As a result, the domestic and Ja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