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and인 게시물 표시

성능위주 화재와 피난시뮬레이션 입력데이터의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제안

이미지
성능위주 화재와 피난시뮬레이션 입력데이터의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제안 Proposals on the Input Data Standardization Needs of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in Performance Based Design ​ 저자 장근호 학술지정보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KCI 발행정보 韓國火災消防學會 2016년 피인용횟수 0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주제분야 공학 > 안전공학  <초록> 국내 성능위주설계 방법 및 기준에서는 다양한 입력 데이터들에 대한 입력 규정이 따로 마련되어있지 않으며, 설계자별로 인용하는 근거 데이터가 상이하여 피난허용시간과 피난완료시간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성능위주 화재와 피난 시뮬레이션에 대한 신뢰도 문제와도 직결되고 있다. 시뮬레이션에 입력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표준화함으로서 설계자의 경험이나 기술능력에 무관하게 동일한 위험도의 건물에서는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어야 한다. 또한 그 위험도 합당한 소방 방재설비가 설치되고 유사한 성능위주 대상 건물에서는 개연성 있는 초기투자비용이 소요됨으로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안전 확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National performance-based design methods and prescribed standards for various input data not defined as separated regulation, ASET and RSET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s on the data cited by different designers. This is also directly connected reliability problems for the evacuation simulation and performance-based fire. standardizing the various input to per

업무용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등급별 평가항목 득점에 관한 연구

이미지
업무용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등급별 평가항목 득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ore of Issues by Certification Grade in the G-SEED for Office Buildings 저자명 황선영, 태춘섭, 신우철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제36권 제5호 (2016년 10월) 9-18 1598-6411  발행정보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기타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523.72 ㅌ363) , KISTI <초록> G-SEED(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is the certification system to evaluat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building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environmental burden generated from the entire process of buildings, which is classified into 4 grades according to the evaluated scor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rule regulate to get over green 2nd grade for the public office buildings of $3000m^2$ or more. However, detailed measures on the applied level of each issue to obtain targeted certification grade have not been prepared yet. For each issue, the score distribution and the ratio of score in proportion to credit were analyzed by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신·재생에너지 인증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이미지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신·재생에너지 인증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Certification Criteria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저자명   이미령, 박지혜, 한찬훈, 태춘섭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제33권 제4호 (2013년 8월) pp.80-88 1598-6411  발행정보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3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기타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DBpia , KISTI ,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Deployingnew and renewable energy should be encouraged due to scarce of natural resources and to reduce the CO₂ emission. Regarding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2.2.1 new and renewable energy use", and ‘2.3.1 carbon dioxide emission reductions" are relate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Applying new and renewable energy can achieve the score in two criteria mentioned above and most of buildings get a perfectscore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So these criteria needs to be revised to have discrimination. In this study, supply rat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of the buildings th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신·재생에너지 인증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이미지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신·재생에너지 인증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Certification Criteria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저자명   이미령, 박지혜, 한찬훈, 태춘섭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제33권 제4호 (2013년 8월) pp.80-88 1598-6411  발행정보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3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기타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DBpia , KISTI ,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Deployingnew and renewable energy should be encouraged due to scarce of natural resources and to reduce the CO₂ emission. Regarding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2.2.1 new and renewable energy use", and ‘2.3.1 carbon dioxide emission reductions" are relate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Applying new and renewable energy can achieve the score in two criteria mentioned above and most of buildings get a perfectscore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So these criteria needs to be revised to have discrimination. In this study, supply rat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of the buildings 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