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rating인 게시물 표시

거주자 만족도 조사를 통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실내환경 인자 분석

이미지
거주자 만족도 조사를 통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실내환경 인자 분석 A study on th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of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through POE 저자명  (발표자명) 서혜수, 정민정, 김광호, 김병선 문서유형  학술발표자료 학술행사  대한설비공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발행정보  대한설비공학회 |2005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공학일반 서지링크 KISTI , 국립중앙도서관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초록> World Watch 연구소에 의하면 전 세계의 GNP의 1/10이 주택이나 오피스의 건설 및 운용에 투입되고 있으며, 건축물은 매년 세계가 소비하는 원재료의 40%를 소비하며, 세계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1/3은 건물 내에서 사용되는 조명, 냉난방, 급탕 등에 의해 소비된다. 따라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건축분야가 해야 할 역할은 매우 크다. 뿐만 아니라 신축되는 건물에서는 거주자들이 병든건물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상생활의 대부분(90%이상)을 실내에서 보내는 현대인에게 이러한 사실은 매우 충격적인 내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걸친 전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환경부담을 줄이면서, 동시에 쾌적한 거주환경 확보의 측면에서 건물의 평가수법 및 인증제도가 세계 각국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외에서 시행중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살펴보고, 이들 제도내의 실내환경 부분의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여,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또한 인증된 건물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실제 만족도 조사를 통해, 건축설계자 및 건설업체가 이들 제도의 적용 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거주자들은 실내소음과 유해물질의 경우 그 중요도를 매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