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절감인 게시물 표시

그린리모델링 기숙사의 물리적환경 변화와 거주자평가

이미지
그린리모델링 기숙사의 물리적환경 변화와 거주자평가 Physical Environment Change and Occupancy Evaluation on Green-Remodeled University Dormitory 저자명  최윤정, 이호연, 이현정, 김원배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8(1) 37-44 2234-3571 KCI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7년 |한국어 주제분야사회과학 > 가정학  서지링크  KISTI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university dormitory remodeled toward energy efficiency. The study has its purpose on deriving the aspects to be concerned for later green remodeling and enhancing the effects of green remodeling, by analyzing the changes of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of energy consumption amount, and needs of the resi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went through the review of project report from government office for green remodeling, field investigation of remodeling elements, and the occupancy evaluation by Focus Group Interview. FGI means interviewing small group of the residents who lived in the subjected dormitories both before and after the remodeling. As results, the elements of gre

그린리모델링 기숙사의 물리적환경 변화와 거주자평가

이미지
그린리모델링 기숙사의 물리적환경 변화와 거주자평가 Physical Environment Change and Occupancy Evaluation on Green-Remodeled University Dormitory 저자명 최윤정, 이호연, 이현정, 김원배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8(1) 37-44 2234-3571 KCI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7년 |한국어 주제분야사회과학 > 가정학  서지링크 KISTI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university dormitory remodeled toward energy efficiency. The study has its purpose on deriving the aspects to be concerned for later green remodeling and enhancing the effects of green remodeling, by analyzing the changes of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of energy consumption amount, and needs of the resi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went through the review of project report from government office for green remodeling, field investigation of remodeling elements, and the occupancy evaluation by Focus Group Interview. FGI means interviewing small group of the residents who lived in the subjected dormitories both before and after the remodeling. As results, the elements of

공동주택의 외단열 시공에 따른 에너지 절감 효과 및 경제성 분석

이미지
공동주택의 외단열 시공에 따른 에너지 절감 효과 및 경제성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External Insulation on Energy Demand and Cost in Multi-residential Building 저자명   박재중 문서유형 학위논문(석사)발행정보 성균관대학교 |2017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총류 > 총류  서지링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3 제 2 장 외단열 공법의 이론적 고찰 5 제1절 외단열 공법의 특성 5 제2절 국내외 외단열 공법의 연구 10 제3절 소결 16 제 3 장 외단열 시공의 열적 특성 분석 방법 검토 17 제1절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17 제2절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분석 19 제3절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검증 25 제4절 소결 29 제 4 장 공동주택의 외단열 시공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 분석 30 제1절 시뮬레이션 입력조건 30 제2절 시뮬레이션 개요 43 제3절 시뮬레이션 결과 51 제4절 소 결 69 제 5 장 공동주택 외단열 공법의 경제성 분석 70 제1절 각 월별 에너지 비용 산출 70 제2절 외단열 공법의 선정과 공사비 산출 73 제3절 Pay-back period 산정 80 제4절 소결 82 제 6 장 결 론 83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 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방송통신 에너지 절감 방안 조사

이미지
방송통신 에너지 절감 방안 조사 The research on energy saving in ICT 저자명 정우수 소속기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문서유형 동향/연구보고서 발행정보 한국 정보통신진흥협회 |2010년 |한국어 서지링크 KISTI <초록> 가. 방송통신 에너지 관리 결합서비스 모델 개발 및 확산전략 연구 우리나라 에너지 사용량의 20%를 차지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를 방송통신 서 비스와 연계하여 이동통신망, 홈 네트워크, IPTV, 초고속 인터넷, WiFi 등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에너지 소비 효율화 및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그리고 에너지 소비분석과 수요예측 및 에너지 절약 방안 제시가 가능한 방송통신 에너지 관리 결합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나. 방송통신 분야 그런 ICT 동향분석 해외 선진국의 그린 ICT 동향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국내 방송통신 녹색성장산업 정책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내용으로 제1절 2010년 주요 이슈에서는 그린 ICT 관련 시장 전망과 국제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다룬다. 제2절 지역별 방송통신 분야 그린 ICT 동향에서는 미주, 유럽/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등의 지역별 정책동향 및 사업자 동향을 다룬다. 다. 방송통신 분야 에너지 절약 가이드라인 개발 「방송통신 분야 에너지절감 가이드라인」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등 관련 법령의 에너지절감 원칙을 토대로 작성하였으며, 온실가스 저감 및 에너지 절감 방안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관련 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제도적으로 미비한 부분을 보완하여 자발적인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방송통신 분야 에너지절감 가이드라인」은 방송통신 분야의 탄소발생관리 및 에너지 절감에 필요에 따라 각 분야별 사업자의 에너지 절감을 권장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라. 방송통신 사업자 에너지 절약 목표

고단열 목질 건축재료의 건물에너지 절감 기여도 평가

이미지
고단열 목질 건축재료의 건물에너지 절감 기여도 평가 Evaluation of contribution for high-insulation wood-based building materials to reduce building energy 저자명 김수민 소속기관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서유형 동향/연구보고서 발행정보 숭실대학교 |2014년 |한국어 서지링크 KISTI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 (1) 국내·외 건물 에너지 관련제도 및 열성능 평가방법 분석완료 ① 미국·영국·독일의 에너지 관련 제도 분석 ② 국내 건물에너지 관련 제도 분석 ③ 건물에너지 해석 프로그램을 동적·정적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완료하였으며 본 과제를 진행하기 윈한 최적의 프로그램을 선정 ④ 전열 성능 평가 방법 및 최적의 평가 프로그램을 선정 (2) 수종별 열전도율 데이터 베이스 구축 완료 ① 목질 수종에 따른 분류 및 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열전도율 데이터 베이스 분석 ② 시뮬레이션별 목재의 열전도율 차이에 의한 에너지 성능 분석 ③ 국내외 열관류율 측정방법 분석 ④ 약 60여종의 목재의 열전도율 DB 구축 (3) 목질재료와 비목질 재료의 열성능 비교 ①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한 건축 부위별 목재의 활용범위 조사 ② 콘크리트 구조, 목구조, 목질 마감, 비목질 마감 등의 변수를 놓고 비교를 통한 전열량 및 열교 분석 결과를 제시 (4) 목구조 재표 복합부위 열성능 계산방법 도출 ① 회귀분석 결과를 통한 회귀식을 도출 및 검증 ② 도출된 식을 통해 목구조 열관류율 계산 프로그램 개발 (5) 목질기반 고단열 실내마감재 Proto-type 제작 ① Fumed silica를 적용한 합판을 제조하여 기존 대비 30%의 단열성능 향상 ② Fumed silica를 적용한 PB을 제조하여 기존 대비 29%의 단열성능 향상 (6) 목질제품의 에너지 절감 기여도 평가 및 부위별 열성능 기준 제시 ①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의 열성능 기준에 따른 벽 부위 구성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