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bim설계인 게시물 표시

도시철도법[시행 2022. 9. 11.]

이미지
도시철도법[시행 2022. 9. 11.] [시행 2022. 9. 11.] [법률 제18943호, 2022. 6. 10., 일부개정] ​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도시교통권역의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하여 도시철도의 건설을 촉진하고 그 운영을 합리화하며 도시철도차량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도시교통의 발전과 도시교통 이용자의 안전 및 편의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4. 5. 21., 2016. 1. 6.> 1. “도시교통권역”이란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제4조에 따라 지정ㆍ고시된 교통권역(交通圈域)을 말한다. 2. “도시철도”란 도시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도시교통권역에서 건설ㆍ운영하는 철도ㆍ모노레일ㆍ노면전차(路面電車)ㆍ선형유도전동기(線形誘導電動機)ㆍ자기부상열차(磁氣浮上列車) 등 궤도(軌道)에 의한 교통시설 및 교통수단을 말한다. 3. “도시철도시설”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부지를 포함한다)을 말한다. 가. 도시철도의 선로(線路), 역사(驛舍) 및 역 시설(물류시설, 환승시설 및 역사와 같은 건물에 있는 판매시설ㆍ업무시설ㆍ근린생활시설ㆍ숙박시설ㆍ문화 및 집회시설 등을 포함한다) 나. 선로 및 도시철도차량을 보수ㆍ정비하기 위한 선로보수기지, 차량정비기지, 차량유치시설, 창고시설 및 기지시설 다. 도시철도의 전철전력설비, 정보통신설비, 신호 및 열차제어설비 라. 도시철도 기술의 개발ㆍ시험 및 연구를 위한 시설 마. 도시철도 경영연수 및 철도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훈련시설 바. 그 밖에 도시철도의 건설, 유지보수 및 운영을 위한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4. “도시철도사업”이란 도시철도건설사업, 도시철도운송사업 및 도시철도부대사업을 말한다. 5. “도시철도건설사업”이란 새로운 도시철도시설의 건설, 기존 도시철도시설의 성능 및 기능 향상을 위한 개량, 도시철도시설의 증설 및 도시철도시설의 건설 시 수반되는 용역 업무 등에 해당

건축설계 BIM기반 모델의 견적모델 활용 프로세스 연구

이미지
건축설계 BIM기반 모델의 견적모델 활용 프로세스 연구 A BIM-Based Architectural Model Takes Advantage of the Estimate Model Process ​ 저자 윤명철 소속 경상대학교 학술지정보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발행정보 대한건축학회 2013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NRF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 ​ <초록> A BIM-based architectural model, the estimate of the model for persistence of the LOD (Level of Detail) and the model for constructing estimates considering code, was generated by applying the creative model for the building-design process and the BIM-based estimates of the model for the process used to reach it. For this, the design criteria for step-by-step BIM model generation as well as the LOD standards, type properties, and property object types of the structure and re-trim model to generate code information for each object were determined by specifying the architecture, specialist work, element parts, and materials classification standards. In addition, the arithmetic link automatically calculated the amount of results, and the BIM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