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16의 게시물 표시

장수명 공동주택 설계시스템 개발

이미지
장수명 공동주택 설계시스템 개발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for the Longlife Multi-family Housing 저자명 김수암 소속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문서유형  동향/연구보고서발행정보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년 |한국어 서지링크  KISTI 본 연구는 "PLUS 50 환경공생빌딩 기술개발" 의 제 1세부과제로 수행되었으며 , 5개년 중 2차년도의 연구이다. 본 연구는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 구조, 설비 , 외피녹화 및 옥상녹화와 2중외피 등을 결합하여 "PLUS 50 환경공생빌딩"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두 번째로, 한국 실정에 적합한 장수명 공동주택의 설계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즉, 가변성능과 리모델링 용이성을 갖춘 장수명 공동주택의 설계지침을 개발하고, 계속연구를 거쳐 본 시스템뿐만 아니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설계기술을 제안하였다. 셋째 , 가변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가동경량칸막이 벽체 부품과 전기배선이 있는 걸레받이 콘센트를 개발하고, 나아가서 인필과 Support(구조체와 공용설비 등 )의 구법개발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차기년도에는 PLUS 50 환경공생주택의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를 실시하고 가동경량칸막이벽체 시스템을 제안할 것이다. This study is performed one of 'the developmentof the Plus 50 Symbiotic Building Technology' and 2nd year project of total 5 year projec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composedof three parts. First, we make "Plus 50 Symbiotic Building System "with assembly of Structural system, Utilities s

주택성능등급제도 화재안전성능분야의 등급표기에 대한 한·일 의식조사연구

이미지
주택성능등급제도 화재안전성능분야의 등급표기에 대한 한·일 의식조사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Survey of Expression Methods for Housing Performance Indication Fire Safety Performance in Korea and Japan 저자명 구인혁, 이재원, 권영진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16건학술지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25권 제2호 통권 제87호 (2011. 4) pp.1-8 1976-3751 KCI 발행정보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안전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14.84 ㅎ155) , KISTI <목차> ​ 주택성능등급제도 화재안전성능분야의 등급표기에 대한 한·일 의식조사연구 / 구인혁 ; 이재원 ; 권영진 1 요약 1 ABSTRACT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주택성능 등급제도 및 화재안전성능 평가의 한·일 현행기준 비교 2  2.1. 한국의 주택성능 등급제도 2  2.2. 일본의 주택성능 표시제도 2  2.3. 화재안전성능평가 한·일비교 2  3. 주택성능표시제도의 인지도 및 화재안전성능 표시방법의 조사연구 3  3.1. 의식조사 대상 및 방법 3  3.2. 의식조사 결과 및 분석 4  5. 결론 7 감사의 글 7 참고문헌 7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 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풍력발전기와 BESS를 결합한 전력계통의 공급신뢰도 기여함수

이미지
풍력발전기와 BESS를 결합한 전력계통의 공급신뢰도 기여함수 Development of Reliability Contribution Function of Power System including Wind Turbine Generators combined with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저자명 오웅진, 이연찬, 최재석, 윤용범, 장병훈, 차준민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  전기학회논문지 제65권 제3호 (2016년 3월) pp.371-381 1975-8359 KCI 발행정보  대한전기학회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전기전자공학  서지링크국회도서관 , DBpia , KISTI ​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reliability assessment and new contribution function development of power system including Wind Turbine Generator(WTG) combined with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BESS). This paper develops and proposes new reliability contribution function of BESS installed at wind farms. The methodology of reliability assessment, using Monte Carlo Simulation(MCS) method to simulate sample state duration, is proposed in detail. Forced Outage Rate(FOR) considered probabilistic approach for conventional generators is modelled in this paper. The penetration of large wind power can make risk to power system a

모바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작업자 중심의 폐색된 건축물 시각화 시스템 개발

이미지
모바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작업자 중심의 폐색된 건축물 시각화 시스템 개발 Implementation of Constructor-Oriented Visualization System for Occluded Construction via Mobile Augmented-Reality 저자명  김태호, 김경호, 한윤상, 이석한, 최종수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16건 학술지  전자공학회논문지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제51권 제2호 통권 제435호 (2014년 2월) pp.55-68 2287-5026 KCI 발행정보   대한전자공학회 |2014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전기전자공학  서지링크국회도서관 , DBpia , KISTI <목차> 현대의 지하 시설물들은 보행자의 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지하에 매설 되어 있기 때문에 가시적인 확인이 어렵다. 이러한 폐색 시설물들을 다루는 건설현장에서는 시각적으로 위치를 정확히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의 경험 또는 종이 도면 등에 의존하다 보니 침수나 붕괴의 위험에 노출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건설 현장에서 폐색된 지하 시설물을 모바일을 이용한 작업자 중심의 시각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논문의 구성은 크게 3단계로 이루어 진다. 먼저,“맨홀 검출 및 특징점 추출 단계”에서는 폐색된 건축물의 기준점인 폐색되지 않는 맨홀을 검출 및 추출한다. 다음으로, “특징점 추적 단계” 에서는 이전단계에서 추출한 특징점을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폐색 건축물 시각화 단계” 에서는 맨홀에 따라 서로 다른 지하시설물이 존재함으로 이전 단계에서 검출 및 추적된 맨홀의 위치에 모바일에 내장된 GPS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장에 해당하는 폐색된 건축물인 3차원 객체를 정합 한다. 제안된 방법은 실내 환경에서 맨홀 검출과 특징점 추출 및 추적방법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최적의

친환경건축자재의 분류체계 및 DB 구축 방안

이미지
친환경건축자재의 분류체계 및 DB 구축 방안 저자명 강동화, 여명석, 김광우 문서유형 학술논문 인용된횟수 도움말1건학술지설비저널 제35권 제12호 (2006년 12월) pp.33-40 1229-6430 KCI 발행정보  대한설비공학회 |200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기타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97.05 ㄱ364) , DBpia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목차> ​ 머리말 국내외 건축자재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례 친환경건축자재 데이터베이스 구축방향 친환경건축자재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기대효과 맺음말 참고문헌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 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특허 분석을 활용한 ITS 녹색 기술 예측

이미지
특허 분석을 활용한 ITS 녹색 기술 예측 Forecasting of Green Technologie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using Patent Analysis 저자명 이주현, 이철웅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14건학술지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통권 제119호 (2014년 2월) pp.233-241 1598-849X KCI 발행정보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컴퓨터공학  서지링크국회도서관 , KISTI , 교보문고 본 논문에서는 "Co-word" 특허분석방법과 "기술로드맵(technique road-map)" 그리고 특허활성화 라이프 사이클그래프 및 추세분석을 활용하여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의 미래녹색기술에 대해 예측한다. 분석 결과 미래의 ITS 녹색 기술 분야의 발달로 탄소배출 절감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 보호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측 되었으며, 미래의 ITS 녹색 기술은 fuel saving 분야에 대한 성장이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fuel saving 분야는 미래의 IT 기술과의 융합으로 인해 더욱 실용적인 기술 분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 되었다. In this paper, it predicts green technology in the future with "Co-word" which is patent analysis, "technology road-map, life cycle graph of patent activation and trend analysis. Analysis result shows that it would help environment preservation because development of ITS green technology m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