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화된 도시 공간 탐색 : 도시 건물의 용도별 공간 분포를 중심으로



젠더화된 도시 공간 탐색 : 도시 건물의 용도별 공간 분포를 중심으로


Exploring a Gendered Urban Space : Focusing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Urban Building Use
저자 이건학, 신정엽, 홍유진
소속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학술지정보 한국지도학회지
발행정보 한국지도학회 2013년
자료제공처 학술교육원 NRF
주제분야 사회과학 > 지역/지리

<초록>
최근 도시 공간에 대한 사회적 안전성에 대한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젠더에 따라 특성화된 공간 점유와 사용이 나타나는 젠더화된 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젠더화된 공간에 대한 연구는 대개 담론을 중심으로 한 이론 측면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제 도시 공간에서의 실증적 분석이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 조직 관점에서 이러한 젠더화된 공간 유형들이 도시 공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의 토지이용과 경제활동이 구체적으로 재현되고 있는 도시 건물의 용도별 공간 분포를 탐색하기 위해, 서울시를 대상으로 공간 젠더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간 점유 측면에서 남성적 공간으로 유형화되는 지역들이 여성적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젠더화된 공간들은 주로 도시 중심부에 집중적으로 혼재되어 분포하고 있어 서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개별적인 젠더별 공간 점유는 연속적 공간에서 국지적인 공간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s the demand for social security has increased recently, a gendered space representing the characterized space possession and use by gender has been of particular interest. Most studies related to a gendered space have been conducted from a theoretical standpoint by focusing on the discourse. However,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attention paid to the empirical analysis in an urban a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the gendered spaces are represented in an urban space from the spatial organizational perspective. More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spatial gendering of Seoul by focusing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urban building use reflecting urban land use and economic activities in practice. As a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the male space which men occupy and utilize dominates the female space and gendered spaces appear a mixed pattern largely concentrated in the urban centers, and thus the gendered space is not precise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However, each gendered space presents a locally clustered spatial patterns on continuous urban space.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젠더화된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
III. 서울시를 사례로 한 젠더화된 도시 공간 탐색
1. 분석 방법론
2. 서울시를 사례로 한 젠더화된 공간 탐색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수도법 시행규칙

지능형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시행 2017. 3. 31.]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