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에너지자원에 대한 한·중 협력방안 연구

신재생 에너지자원에 대한 한·중 협력방안 연구
(A)study on cooperation methods of renewable energy research program between Korea and China

저자명 왕암
문서유형 학위논문(석사)발행정보한서대학교 |2014년 |행정학과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행정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351 -14-527)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초록>
국제유가의 지속적 상승, 기후변화에 따라 각국은 모두 수력, 풍력, 태양광, 바이오에너지 등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중 두 나라는 모두 동북아시아에서 경제가 제일 활기찬 국가 중의 하나이다. 동시에 세계적으로 에너지 소비가 제일 많은 에너지소비 대국이다. 에너지 자체가 계절의 단속성, 지역의 제한, 운송경로와 기술의 개발 등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일국가의 신재생에너지 산업화발전이 저조하여 한·중 두 나라 사이의 협력은 신재생에너지 산업발전의 상호이익을 가져올 것이다.
한·중 수교 이래 두 나라 경제발전은 긴밀한 협력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고 미래에도 계속 양국이 신재생에너지방면의 협력이 가능할 것이며 한·중 두 나라 사이의 기술교류와 협력의 강화, 신재생 에너지자원의 활용 확대는 두 나라에 아주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본 논문은 우선 한·중 두 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자원 발전현황을 기초로 하고 한·중 두 나라가 신재생 에너지 자원발전의 현황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두 나라가 직면한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두 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법규제도, 정책목표 ,재정투입, 구체적인 촉진정책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중 두 나라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영역 협력의 시장과 기술의 분석에 근거하여 한·중 두 나라가 태양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풍력 에너지, 조력 에너지 등 여러 방면 협력의 장점 분석을 통하여 한·중 두 나라의 적극적인 협력 외교를 통하여 공동의 이익을 창출하고 적극적인 대화를 통한 새로운 협력 방식을 강화하여 양국의 국제적 협력, 정책적 조치를 통하여 신재생에너지 산업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끝으로, 한국의 경기도와 중국의 료녕성의 사례를 종합하여 한·중 두 나라가 각각 자신의 지역발전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산업발전을 위한 전망과 구체적 정책대안, 그리고 기술적 협력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Along with the international price of oil continuous rising and the effects of modern climate change, international cooperation has come afoot in various fields of new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wind, hydraulic power and bioenergy and some achievements have been made.
As two of the most active economic states in Northern Asia Area, China and South Korea are much larger in energy consumption in the world. Unfortunately, new renewable energy will bring their own problems on different levels, including season limit, restriction of region, transportation ways and technical development, etc. making the further development of new renewable energy in signal countries is slow or even hinder. Therefore two countries cooperation is the way forward.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y have cooperated well on industrial issues. If it’s possible for China and South Korea to develop further cooperation in new renewable energy, this will have a beneficial effete on their exchange of technology. Clearly, joint developments will also easily become accepted by the public.
The article is about joint Chinese一Korean development in the field of new renewable energy, based on careful analysis on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problems, now comparing the aims of policies, laws, financial support and concrete measures of two countries.

Secondly, on the basis of analysis on the field of cooperation market, and technological abilities of these two countries in the field of new renewable energy and analysis on their individual abilities in the fields of solar, wind, wave, tidal and bio energy with analysis focusing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country, it has been advised that these two countries should increase their bilateral cooperation through energy diplomacy, dialogue between the two governments for win一win thinking, new model to widen cooperation fields, and policy of cooperation agreements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bilateral cooperation.

Lastly, taking Korean Gyeonggi-Do and Chinese Liaoning province for instance, the Prospect of future cooperation is described and some detail cooperation projects and some policy of cooperation are given.







www.gseedtop1.co.kr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설계 사례 분석: 서울역 복합환승시설을 중심으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3. 7. 10.]

지능형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시행 2017.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