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면과 건강에 대한 이슈

석면과 건강에 대한 이슈
Critical Issues on Health Risk of Asbestos

저자명  윤충식
문서유형  학술논문참고문헌14건인용된횟수 도움말2건학술지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35권 제5호 통권110호 (2009년 10월) pp.426-432 1738-4087 KCI 
발행정보  한국환경보건학회 |2009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의약학 > 예방의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363.7 ㅎ155) , DBpia , KISTI , 의학연구정보센터

Asbestos is a commercial term of natural occurring silicated minerals and forms long, thin fibers. Chrysotile, the serpentine asbestos, accounts for most use in commercial use. Asbestos is well known health hazard material and it is proved that inhalation of asbestos fibers leads to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several diseases such as lung cancer, mesothelioma, asbestosis. In these days, people most at risk for exposure are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workers and general citizens who are working on and close to the work area at which asbestos containing material is disturbing. Non asbestiform, though its chemical composition is same with regulated asbestos, is known to be less hazardous than asbestiform. Exposure guideline, 0.01 f/ml, is not safe level in terms of health risk. It is reasonable to take preventable action when asbestos is suspiciou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oncept between hazard and risk, to differentiate asbestiform from non asbestiform, to make regulations for compensation for asbestos related patients, to manage future exposure for general citizens.




<목차>
석면과 건강에 대한 이슈 / 윤충식 1
ABSTRACT 1
 1. 석면이란 무엇인가? 1
 2. 자연발생 석면이란? 1
 3. 왜 석면이 사용되었나? 2
 4. 석면의 유해성과 위해도 2
 5. 석면과 비석면 형태의 구분은? 3
 6. 석면의 노출경로와 질병 3
 7. 누가 석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가? 4
 8. 석면의 기준은 안전한가? 4
 9. 우리나라에서 왜 이슈가 되나? 5
 10. 석면에 대해 잘 알려진 사실과 더 연구가 되어야 할 이슈들 5
 11. 석면의 노출을 줄이려면? 6
결론 6
참고문헌 7









www.gseedtop1.co.kr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설계 사례 분석: 서울역 복합환승시설을 중심으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3. 7. 10.]

지능형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시행 2017.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