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제거 사업장 및 주변에서의 공기 중 석면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제거 사업장 및 주변에서의 공기 중 석면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at Demolition Sites and Surrounding Areas of Asbestos Containing Buildings in Seoul

저자명 이진효, 이수현, 김정연, 김지희, 정숙녀, 김진아, 김익수, 어수미, 정권, 이진숙, 구자용
문서유형 학술논문참고문헌13건학술지대한환경공학회지 제36권 제6호 (2014년 6월) pp.434-441
발행정보 대한환경공학회 |2014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석면해체 제거작업에 따른 작업자 및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 제거 사업장을 대상으로 공기 중 석면농도를 조사하고, 측정결과가 "석면안전관리법"에서 명시된 사업장 주변의 석면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한지를 살펴보았다. 서울시내 총 37개소 석면해체 제거 사업장에서 총 288개의 공기 중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전체 288개 시료 중 101개 시료에서(35%) 검출한계($7fiber/mm^2$) 이하로 나타났다. 이 때 전체 공기 중 석면농도 평균값은 $0.003{\pm}0.002f/cc$로(최대 0.013 f/cc) 대부분의 공기 중 석면농도는 "석면안전관리법"에서 명시된 사업장 주변의 석면배출허용기준 0.01 f/cc 이하로 나타나 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 제거 사업장에서의 석면 노출가능성은 우려할 수준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채취지점별로 살펴보면, 부지경계선(148개), 위생설비입구(25개), 작업장주변(실내)(7개), 작업장주변(실외)(11개)에 대한 공기 중 석면농도 결과, 각각 53개(36%), 5개(20%), 1개(14%), 4개(36%) 시료에서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며 평균농도는 각각 $0.002{\pm}0.002f/cc$(최대 0.008 f/cc), $0.004{\pm}0.002f/cc$(최대 0.009 f/cc), $0.004{\pm}0.002f/cc$(최대 0.007 f/cc), $0.004{\pm}0.002f/cc$로(최대 0.008 f/cc) 나타났다. 또한 음압기(13개), 폐기물보관지점(27개), 폐기물반출구(9개), 거주자주거지역(48개)에 대한 공기 중 석면농도 결과, 각각 3개(23%), 8개(30%), 2개(22%), 25개(52%) 시료에서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며 평균농도는 각각 $0.004{\pm}0.002f/cc$(최대 0.009 f/cc), $0.005{\pm}0.004f/cc$(최대 0.013 f/cc), $0.005{\pm}0.003f/cc$(최대 0.009 f/cc), $0.003{\pm}0.002f/cc$0로(최대 0.009 f/cc) 나타났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measur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at demolition sites and surrounding areas of asbestos containing buildings in Seoul and examine whether the measurement results correspond with allowable exhaust standard for asbestos of the Asbestos Safety Control Act.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for 37 sites were below the detection limit ($7fiber/mm^2$) in 101 (35%) out of 288 samples. The whole averag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 in 37 sites was $0.003{\pm}0.002f/cc$(max 0.0013 f/cc) and almost the whol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were satisfied with allowable exhaust standard for asbestos, 0.01 f/cc, of the Asbestos Safety Control Act.

So possibility of asbestos exposure is not yet a major concern at current levels for sites demolished of asbestos containing buildings in Seoul. Looking at each sampling point, the averag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in boundary line of site, entrance of sanitation, around the workplace (in), around the workplace (out), negative pressure units, storage area for waste, outlet for waste and residential area of residents were respectively $0.002{\pm}0.002f/cc$, $0.004{\pm}0.002f/cc$, $0.004{\pm}0.002f/cc$, $0.004{\pm}0.002f/cc$, $0.004{\pm}0.002f/cc$, $0.005{\pm}0.004f/cc$, $0.005{\pm}0.003f/cc$ and $0.003{\pm}0.002f/cc$. As a result, all sampling points of study were satisfied with allowable exhaust standard for asbestos, 0.01 f/cc, of the Asbestos Safety Control Act.
















www.gseedtop1.co.kr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설계 사례 분석: 서울역 복합환승시설을 중심으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3. 7. 10.]

지능형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시행 2017.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