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에너지건물 통합설계 인센티브 체계 비교 연구

저에너지건물 통합설계 인센티브 체계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Incentive System for Integrated Design of Low-Energy Buildings

저자명  이병연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6) 129-139 1975-4701 KCI
발행정보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공학 > 공학일반 
서지링크  KISTI , 학지사 뉴논문

본 논문은 저에너지 건축물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시행되고 있는 국내외 인센티브 제도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국내 저에너지 건축물 인센티브 제도의 개선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 캐나다, 미국, 싱가폴의 국가단위, 지방정부단위 제도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인센티브 제도의 체계는 1) 인센티브 종류 및 수혜자의 규정, 2)성능기준 및 평가방식의 정립, 3) 통합설계지원, 4) 재원의 확보를 근간으로 구성된다. 한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들이 통합설계에 참여하는 전문가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신축 중심 인센티브가 리모델링 건축물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인센티브 제도의 근간인 성능기준은 각 프로그램이 속한 국가 또는 지방정부가 규정하는 통합에너지성능분석기준에 따라 통합성능에 따른 지원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개별 기술에 대한 지원을 보완하여 지원 범위 확대 경향을 보이고 있다. 통합 성능의 경우에도 초기 시뮬레이션에 의한 검증에서 실제 에너지사용량에 의한 검증으로 전환되어 시공품질 및 건물운영에 점차적으로 비중을 강화하고 있다. 통합 디자인 자체에 대한 지원과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여 성능기반 건축물 시장으로의 빠른 재편과 신산업 육성을 기대하고 있다. 안정적인 제도 운영을 위하여 재원확보가 필수적인데, 세금이 가장 일반적이고, 에너지 사업자 지원 또는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누진제를 통해 재원을 확보하는 보다 적극적인 재원확보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mparatively investigate the efficient building incentive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to seek strategies to enhance low energy building integrated design market infrastructure in Korea. The structure of incentive policies were composed of four main component: 1) types of financial aids and beneficiaries, 2) energy performance criteria and verification methods, 3) supports for low energy building integrated design, and 4) funding sources for incentive programs.

Every overseas incentive program has adopted a design team incentive along with building owners incentive and the range of target buildings have been extended from new construction to remodeling projects. The main system of the program is the performance standard through which projects were investigated and the level of incentive are decided. Initially, the integrated performance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simulation methods, but the construc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energy monitoring methods are emerging. In addition, the direct support and educational support for integrated design has been provided to enhance the foundation of relative markets. Financial funding is also a key component of the program and more aggressive funding strategies have been adopted.












www.gseedtop1.co.kr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설계 사례 분석: 서울역 복합환승시설을 중심으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3. 7. 10.]

지능형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시행 2017.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