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개발사업 타당성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 개발사업 타당성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Feasibility Analysis of Apartment House Development Project

저자 홍주현, 고성석
학술지정보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CI
발행정보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  공학 >  토목공학

<초록>
공동주택 개발사업의 기획 추진시 사업의 성공적인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기획단계에서의 수익성과 분양성에 대한 현실적인 평가와 분석을 통한 정량적 예측과 이에 대한 보완 개선적인 과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개발사업 수행 중에서 기획단계에서의 초기 분양율 예측을 통한 사업타당성 분석 및 검증은 전체사업의 기대수익과 성공가능여부 예측면에서 중점 고려요소들을 분석하고 미흡한 요소에 대한 투자와 개선을 유도함으로써 개발사업의 리스크 인자를 감소시키고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확대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개발사업 타당성 검토요소 및 항목간 중요도 산정지표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민간 공동주택 사례별 실제 초기분양율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산정지표 중 누락된 항목 및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항목을 중요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배점화하여 4분야 9항목의 33세부 평가내용으로 조합하여 공동주택의 수익성과 분양성 예측을 위한 효율적인 평가항목과 기준을 제시하였다.




When planning and promoting apartment house development project, it is very important to carry on profitability in planning stage through realistic evaluation and analysis about distributability. Especially, the analysis about project feasibility through forecasting the early distribute rate is crucial stage because it could evaluate overall expecting benefit and feasibility of the project. However, researches and studies related with forecasting profitability and distributabilty of construction development project are insufficient. Also there is a big gap of the standard for evaluating early distribute rate between government and individual corporation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evaluating early distribute rate. In this point, this study aims to present effective evaluating standard(criteria) which is for forecasting profitability and distribute rate through analyzing various factors and weight of apartment house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examples of the real initial rate of private apartment sale based on the government estimated standard. Among estimated index, omitted items and factors to be additionally considered are combined as 33 detail appraisal contents of 4 parts 9 items by allotting them based on the data about priority of all considered factors.











 한국녹색인증원 홈페이지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수도법 시행규칙

지능형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시행 2017. 3. 31.]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