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원별 연구개발 효율성 분석

신재생에너지 원별 연구개발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Renewable Energy R&D Efficiency

저자명 조인경, 김경희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에너지공학 제24권 제4호 통권 제84호 (2015년 12월) pp.97-104 1598-7981 발행정보 한국에너지공학회 |2015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자원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DBpia , KISTI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사업(R&D)은 그 성과가 발전단가 감소에의 기여 등 상업적 측면 위주로 보는 특성으로 인해 학술적 기여에 대한 부분은 간과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중점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던 효율성 분석에서 확대하여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신재생에너지 원별 R&D 과제의 학술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총연구개발비와 지원과제수를 투입요소로, 특허와 논문 수를 산출요소로 설정하고 DEA 방법론을 적용하여 직접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원별 연구개발 효율성을 판단하고 비효율 발생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원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에너지 정책 포트폴리오 수립 등 정책결정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erformance in scientific contribution of renewable energy R&D has been overlooked, as it is shown in terms of industrial aspect. This paper analyzed the R&D efficiency of scientific aspects of each renewable energy resource in 2008-2012. Total R&D fund and the number of supported projects are selected as input variables, and the number of patents and papers as output variables to analyze the direct efficiency using DEA method. Through the analysis, it determines the efficiency of each energy resource R&D, and investigated the causes of inefficiency. This study has meaning to include entire renewable energy sources for the analysis,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n important reference in policy making.

<목차>



요약Abstract1. 서론2. 연구개발 효율성과 측정3. 분석자료4. 분석결과5. 결론References












www.gseedtop1.co.kr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2. 12. 1.]

해상풍력 발전용량 설계에 관한 연구 : 전남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설계 사례 분석: 서울역 복합환승시설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