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물 없는 주택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 국내 공동주택의 무장애(barrier free) 설계수준 평가를 중심으로

장애물 없는 주택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 국내 공동주택의 무장애(barrier free) 설계수준 평가를 중심으로

Design Criteria in Barrier Free Housing

저자 김상운, 박광재, 강병근
학술지정보 의료·복지 건축 KCI
발행정보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04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한국학술정보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  의약학 >  기타의약학

<초록>
본 연구는 현행 편의증진법의 보완 또는 새로운 주택관련 편의증진법의 제정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공동주택의 주거단위에서 무장애(barrier free) 설계기준을 분석하고, 현재 국내 공동주택의 무장애(barrier free) 설계의 수준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is paper, the all units of residential housing that is not legislated in facility development law are analyzed and foreign design criteria that is related to barrier-free unit housing is comparing to domestic. Through the comparison in front door, living room, bathroom, bedroom, and kitchen, this paper aims to suggest internal barrier-free design criteria. This paper is limited to internal housing which are front door, living room, bedroom, bathroom, and kitchen. Also, the objectives of facility development law are U.S, Japan, German, and in case of U.S, UFAS is established by ADA, in Japan, Heart Building law and detail standard drawing are used, in German, DIN is used. The objective of domestic case study is the latest residential housings that are built over 2003. The flow of study is as follows ; First, the internal items of residential housing are abstracted, and each item is checked in facility development law that is legislated in. Next, through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facility development law related to housing, common items are abstracted and detail standards are defined. Domestic residential housings are analyzed in those standards. Finally, the problems that is the result of analysis are analyzed and the barrier free design criteria is abstracted in unit housing. Also, more developed items and future study are suggested.



<목차>
장애물 없는 주택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 국내 공동주택의 무장애(barrier free) 설계수준 평가를 중심으로 / 김상운 ; 박광재 ; 강병근 1
Abstract 1
1. 서론 1
1.1. 연구의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2. 국내 편의증진법과 공동주택의 구성요소 2
2.1. 국내 편의증진법의 구성 2
2.2. 공동주택관련 규정 내용분류 2
2.3. 구성요소 고찰결과 3
3. 국내외 무장애공간 단위주택의 설계기준 비교분석 3
3.1. 현관 4
3.2. 거실 4
3.3. 침실 4
3.4. 욕실 5
3.5. 부엌 5
3.6. 단위주택의 세부항목기준 5
4. 국내 공동주택의 현황 6
4.1. 사례의 선정과 분석방법 6
4.2. 사례조사 및 분석 6
5. 결론 8
참고문헌 9












 한국녹색인증원 홈페이지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해상풍력 발전용량 설계에 관한 연구 : 전남사례를 중심으로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2. 12. 1.]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 2023.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