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자족 도시 형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의 기술적잠재량 산정과 지역별 비교



에너지 자족 도시 형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의 기술적잠재량 산정과 지역별 비교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the Regional Technical Potentials of Renewable Energy for Energy Self-sufficient Cities
저자 이지민, 서교
소속 이지민, 서교
학술지정보 대한국토계획학회지 KCI
발행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5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NRF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초록>
인구 증가와 과학 발달,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자원의 소비 증가는 환경오염, 기후변화, 자원고갈이라는 문제를 야기하였으며, 미래세대를 고려한 지속가능한 발전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인식, 화석에너지의고갈과 환경오염, 원자력 에너지원의 안전성에 대한사회적 관심은 미래에너지원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 또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인식은 지역계획 분야에도확대되고 있으며, 경제 논리에 따른 개발 계획이아닌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친환경 공간, 생태 환경과 공존하는 계획뿐만 아니라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문제가 대두되면서 저에너지 친환경도시인 제로시티 개념이등장하였다(윤정방 외, 2010). 제로시티는 주로 탄소제로시티를 의미하며, 신도시 개발의 경우 토지이용 단계부터 녹지계획 등에 이러한 개념이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제로시티 계획으로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마스다르 시티가 있으며, 독일의 윤데, 스웨덴의 말뫼, 영국 베드제드 등이 있다. 우리나라도 이와 유사한 에너지 자립마을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사업으로 환경에너지마을(기존 에너지 자립 녹색마을)사업을 추진 중이며, 친환경에너지 타운을 2017년까지 20개소 만드는 것을 목표로하고 있다(국무조정실, 2014). 그러나 이러한 사업들은 신규 중심시설을 유치하거나 기존 시설을 중심으로 사업을 계획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어 잠재된 신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지역공간 계획과는 거리가 있다. 정부의 정책과 사업들뿐만 아니라 지역 계획 및에너지원의 개발과 다양화를 위해 잠재된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에너지관리공단(KIER)의 신재생 에너지자원 데이터 센터에서는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잠재량을 산정하여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박우균 외(2013)의 농업부문 바이오매스 에너지에 관한 연구에서는 지역별바이오매스 에너지 분포 특성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각각 이론적 잠재량을 대상으로 하거나 농업부산물만을 연구 대상으로 제한한 한계를가지고 있다. 박종진(2013)과 소진영(2013)은 각각신재생에너지 잠재량 및 바이오폐기물에너지원 잠재량을 산정하면서, 단계의 구분 및 설정에 각기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기술적 잠재량, 실제 활용가능량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들도 대상의 한계 또는 전국 총량만을 다루고 있어 지역별 분포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 대상이 특정지역으로 한정된 연구로는 인천광역시(2008)의 경우가 있으며, 지역에너지계획을 위해 구체적 분석과 실천 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한 연구는 잠재량산정 및 개발 방안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주로 이론적 잠재량이 강조되었으며, 가용 잠재량에 대한 연구도 존재하였으나(박종진, 2013; 소진영, 2013) 이들 연구에서는 지역을 대상으로한 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에너지 자립도시 계획을 위해 지역별 신재생에너지기술적 잠재량을 산정하고 농촌과 도시, 시도별, 시군구별 잠재량의 분포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Fossil energy depleti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drive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for future generation. Although there are several studies about renewable energy potential, these are focused on theoretical energy potentials that is not applicable to the regional planning. In this study, we evaluate regional technical energy potentials for various renewable energy sources. As the results, rooftop sunlight is the most important renewable energy source among available renewable resources(rooftop sunlight, roadside wind power, small hydro power and biomass). Also the effectively available resourc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ll the cities(gu), small cities(si) and rural regions(gun). If renewable energy is autonomously developed in each region, only 44% of regions (102 among 230 regions) will be self-sufficient in electricity consumption.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해상풍력 발전용량 설계에 관한 연구 : 전남사례를 중심으로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 2023. 1. 12.]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2.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