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계선형모델을 이용한 교육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계선형모델을 이용한 교육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n Multi-family Attached House Price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저자 최 열, 권연화
소속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학술지정보 대한국토계획학회지 KCI
발행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4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위계선형모델을 이용하여 주택가격을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서 교육환경과 관련된 요인들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고자 하며, 이어서 개별주택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특성가격함수와 지역수준변동까지 고려한 위계선형모델의 분석 결과를 상호 비교해 보고자 한다.
The existing hedonic price equations for the evaluations of housing price have mainly used one level analysis with the assumption that a region where housings are located is homogeneous and such region related characteristics have all equal effects without relation to areas. The hedonic estimates of property value under such assumption do not consider structural differentiation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cross time and space in accordance with geographic area and location. This paper adopts hierarchical linear model (hereafter HLM) that consists of the hierarchical two level data system concerning physical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level 1 is each property, and level 2 is community contains various property),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especially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environment variables as regional characteristics in evaluating residential proper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results show that HLM estimates prove to more persuasive even in the relation to housing value and the variables to represent school per population and the ratio of entering high quality of university.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al variables to denot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level 2 have considerably influenced on each housing unit value of level 1 and thus housing value is very differently estimated in accordance with each geographic areas and locations.
<목차>
위계선형모델을 이용한 교육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최열 ; 권연화 1
Abstract 1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3
III. 분석모델의 구성 4
1. 특성가격함수의 설정 4
2. 위계선형모델의 설정 4
3. 연구자료의 분석 5
IV. 실증분석 결과 7
V. 결론 9


인용문헌 11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수도법 시행규칙

지능형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시행 2017. 3. 31.]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