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작업자 중심의 폐색된 건축물 시각화 시스템 개발

모바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작업자 중심의 폐색된 건축물 시각화 시스템 개발
Implementation of Constructor-Oriented Visualization System for Occluded Construction via Mobile Augmented-Reality

저자명  김태호, 김경호, 한윤상, 이석한, 최종수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16건 학술지  전자공학회논문지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제51권 제2호 통권 제435호 (2014년 2월) pp.55-68 2287-5026 KCI
발행정보  대한전자공학회 |2014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전기전자공학  서지링크국회도서관 , DBpia , KISTI



<목차>
현대의 지하 시설물들은 보행자의 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지하에 매설 되어 있기 때문에 가시적인 확인이 어렵다. 이러한 폐색 시설물들을 다루는 건설현장에서는 시각적으로 위치를 정확히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의 경험 또는 종이 도면 등에 의존하다 보니 침수나 붕괴의 위험에 노출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건설 현장에서 폐색된 지하 시설물을 모바일을 이용한 작업자 중심의 시각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논문의 구성은 크게 3단계로 이루어 진다. 먼저,“맨홀 검출 및 특징점 추출 단계”에서는 폐색된 건축물의 기준점인 폐색되지 않는 맨홀을 검출 및 추출한다. 다음으로, “특징점 추적 단계” 에서는 이전단계에서 추출한 특징점을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폐색 건축물 시각화 단계” 에서는 맨홀에 따라 서로 다른 지하시설물이 존재함으로 이전 단계에서 검출 및 추적된 맨홀의 위치에 모바일에 내장된 GPS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장에 해당하는 폐색된 건축물인 3차원 객체를 정합 한다. 제안된 방법은 실내 환경에서 맨홀 검출과 특징점 추출 및 추적방법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최적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실제 환경에서의 폐색된 상/하수도 배관 증강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폐색된 상하수도 등의 건축물의 증강된 3차원 결과들로부터 작업자 중심의 보다 유용한 건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Some infrastructure these days is usually constructed under the ground for it to not interfere the foot-traffic of pedestrian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the accurate location of the site where the establishments must be buried. These technical difficulties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problems that could arise from over-reliance on the experience of the worker or a mere blueprint. Such problems include exposure to flood and collapse. This paper proposes a constructor-oriented visualization system via mobile gadgets in general construction sites with occluded structures.

This proposal is consisted with three stages. First, “Stage of detecting manhole and extracting features” detects and extracts the basis point of occluded structures which is unoccluded manhole. Next, “Stage of tracking features” tracks down the extracted features in the previous stage. Lastly, “Stage of visualizing occluded constructions” analyzes and synthesizes the GPS data and 3D objects obtained from mobile gadgets in the previous stages. This proposal implemented ideal method through parallel analysis of manhole detection, feature extraction, and tracking techniques in indoor environment,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through occluded water-pipe augmentation in real environment. Also, it offers a practical constructor-oriented environment derived from the augmented 3D results of occluded water-pipings.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제안된 기법의 개요
Ⅲ. 실험
Ⅳ. 결론
REFERENCES










www.gseedtop1.co.kr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장수명주택인증,CPTED,BF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수도법 시행규칙

지능형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시행 2017. 3. 31.]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