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주택 관리요소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 : 생활관리 매뉴얼 분석을 중심으로

건강주택 관리요소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 : 생활관리 매뉴얼 분석을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the Management Item of Healthy Housing - Focus on the Analysis of Housing Living Guide Book
저자 이현수, 이윤재, 이민아, 김화경, 이효미
소속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학술지정보 디자인융복합연구
발행정보 디자인융복합학회 2010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예술체육 > 디자인

<초록>
건강주택은 거주자의 기본적 욕구 충족에 집중하는 것에서 나아가 삶의 질을 보다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러나 실천적 개념에 근거하여 주택이 계획되더라도 유지관리에 소홀하면 제 기능을 다 할 수 없으므로 건강주택의 유지관리를 위한 매뉴얼 정립을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건강주택의 관리 매뉴얼 작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반 공동주택과 친환경 공동주택의 생활관리 매뉴얼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도출한 건강주택 관리요소는 안전시설안내, 위생시설안내, 생활정보, 공동생활의 규칙, 유익한 생활의 지혜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manual elements used as the basis data of health housing management manual. The health housing carry an important meaning for improving resident` quality of life and the satisfaction of resident needs. However, Based on practical concepts of health housing, the house does not function properly. The maintenance of health housing is required to establish a manual. The health housing manual is analyzed by a general and environment of housing management manual element as the basis data of health housing management manual. The result of study is that the health housing management manual should includes a management guideline about safety and sanitation facilities, community facilities information and role, a socially and mentally useful life for residents.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수도법 시행규칙

지능형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시행 2017. 3. 31.]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시행 2023.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