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원의 규모와 형태별 주변지역의 지표온도·건물에너지소비저감 영향범위 분석 연구

이미지
도시공원의 규모와 형태별 주변지역의 지표온도·건물에너지소비저감 영향범위 분석 연구 저자 김기중, 김동준, 이창효, 이승일 소속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한밭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학술지정보 한국지역개발학회 발행정보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년 자료제공처 한국학술정보 교보문고 학술교육원 NRF 주제분야 사회과학 > 지역/지리 ​ <초록> 이 연구는 도시공원의 규모와 형태에 따라 주변지역에 대한 지표온도와 건물에너지소비저감 영향범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도시공원및녹지에관한법률」에 의거하여 도시기본계획과 연계한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한다. 관련계획에 의하면 공원·녹지시설은 서비스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일정면적 이상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에 따라 개발 구역면적의 일정비율을 공원·녹지공간으로 조성하도록 규정하여, 도시 내 공원․녹지의 양적 확보 중심의 계획을 하고 있다. 반면, 선진국에서는 공원면적의 양적 확보 측면으로부터 공원기능을 고려한 질적 가치의 향상으로 계획목표를 전환하여, 지역 재활성화와 도시공간 재생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집행하고 있다. 이는 공원․녹지계획을 단순히 면적 확보가 아닌 공원·녹지공간을 통한 도시민이 누릴 수 있는 편익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이 연구는 도시공원의 규모와 형태에 따른 환경적 영향범위를 온도저감, 냉각효과, 냉방에너지소비저감효과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첫째, 공원 유형별 공원으로부터 거리와 각 지표의 관계그래프는 3차함수 형태가 가장 적절하다. 이는 공원·녹지시설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효과가 일정거리까지 존재하고 일정지점이후 효과가 미미함을 의미한다. 둘째, 공원의 규모와 형태에 따라 지표온도, 냉각효과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차이가 있다. 공원규모가 클수록 연접지역의 지표온도가 낮고, 공원의 냉각효과가 크다. 셋째, 건...

건축조형 과학.구조역학의 조망

이미지
건축조형 과학.구조역학의 조망 Prospect of Architectural Form Science and Structural Mechanics ​ 저자 정광량, 우운택 학술지정보 한국공간구조학회지 발행정보 한국공간구조학회 2006년 자료제공처 KISTI 한국학술정보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 <초록> 2006년도 일본건축학회 학술발표회(관동, 9월7일-9일)에 참가하여 쉘 공간구조 운영위원회에서 주관한 구조부문(쉘 공간구조)의 패널 회의에 참석하였다. 주제는 “Structural Design의 나아갈 방향”이었다. 그 중에 나고야대학교수인 大森博司가 발표한 내용을 소개한다. ​ ​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 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

선행 연구를 통한 탄소 저감율별 도시 에너지플랜트 평가

이미지
선행 연구를 통한 탄소 저감율별 도시 에너지플랜트 평가 Evaluation of Urban Energy Plant by Carbon Reduction Rates from Advanced Research ​ 저자 박률, 박진영, 이정재 소속 동의대학교, 동의대학교, 동아대학교 학술지정보 ​ ​ 학술발표대회논문집 발행정보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년 자료제공처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학술교육원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한국연구재단 ​ <초록> 국내에서는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에 대처할 뿐만 아니라 고유가에 따른 에너지 문제를 극복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이란 국가적 패러다임을 실천하기 위해 저탄소 녹색도시 또는 탄소 제로도시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도시계획단계에서부터 미활용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에너지원의 선정 및 평가 등에 관한 방법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선행연구의 결과에서 제시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경기도 성남시의 G지구를 대상으로 4가지의 탄소저감율별 도시 에너지 플랜트를 평가함으로써 저탄소 녹색도시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analyzed that the amount of used energy was increased, despite of high energy price. Korean government is pushing ahead with the policy for 'Low Carbon Green Growth' to deal with climate changes and to overcome energy problems. And many studies for low carbon green city or zero carbon city have been progressed. In this study, energy...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의 지역별·에너지원별 성과분석

이미지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의 지역별·에너지원별 성과분석 An Analysis on Policy Performance of New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by Region and by Energy Sources ​ 저자 진상현, 황인창 소속 경북대학교, 암스테르담 자유대학 학술지정보 한국지역개발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지역개발학회 2011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 교보문고 학술교육원 NRF 주제분야 사회과학 > 지역/지리 ​ #신재생에너지보급정책 , #정책평가 , #사업평가 , #성과지표 , #지역에너지계획 , #정책평가 , #사업평가 , #성과지표 , #지역에너지계획 ​ <초록> The central government of Korea announced that it will extend its rate of NRE (new renewable energy) from 2% in 2004 to 5% by 2011 in the declaration of the first year of NRE. Three national master plans have been made to extend NRE by using various supporting policies since 1997. But there were speculations that this goals cannot be achieved by 2011. The reason of this failure is because the central government has ignor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RE. Local governments are more familiar to these kinds of natural resources tha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y know how to develop these res...

에너지 자족 도시 형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의 기술적잠재량 산정과 지역별 비교

이미지
에너지 자족 도시 형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의 기술적잠재량 산정과 지역별 비교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the Regional Technical Potentials of Renewable Energy for Energy Self-sufficient Cities ​ 저자 이지민, 서교 소속 이지민, 서교 학술지정보 대한국토계획학회지 KCI 발행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5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NRF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 <초록> 인구 증가와 과학 발달,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자원의 소비 증가는 환경오염, 기후변화, 자원고갈이라는 문제를 야기하였으며, 미래세대를 고려한 지속가능한 발전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인식, 화석에너지의고갈과 환경오염, 원자력 에너지원의 안전성에 대한사회적 관심은 미래에너지원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 또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인식은 지역계획 분야에도확대되고 있으며, 경제 논리에 따른 개발 계획이아닌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친환경 공간, 생태 환경과 공존하는 계획뿐만 아니라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문제가 대두되면서 저에너지 친환경도시인 제로시티 개념이등장하였다(윤정방 외, 2010). 제로시티는 주로 탄소제로시티를 의미하며, 신도시 개발의 경우 토지이용 단계부터 녹지계획 등에 이러한 개념이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제로시티 계획으로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마스다르 시티가 있으며, 독일의 윤데, 스웨덴의 말뫼, 영국 베드제드 등이 있다. 우리나라도 이와 유사한 에너지 자립마을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사업으로 환경에너지마을(기존 에너지 자립 녹색마을)사업을 추진 중이며, 친환경에너지 타운을 2017년까지 20개소 만드는 것을 목표로하고 있다(국무조정실, 2014). 그러나 이러한 사업들은 신규 중심시설을 유치하거나 기존 시...

그린홈 주택의 수요분석에 관한 연구

이미지
그린홈 주택의 수요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mand Analysis for of House Green Home ​ 저자 김혜수, 이창석 소속 강남대학교, 강남대학교 학술지정보 부동산학보 KCI Candidate 발행정보 한국부동산학회 2013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사회과학 > 금융/재정 ​ ​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wareness of green home and preference for that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right directions of housing policy setting and of the real estate market. (2)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on this study were selected experts and people in general,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and x2(chi-square) tes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3) RESEARCH FIND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people in general weren't well aware of green home and didn't have a lot of intention to move into a green home. Those who were better 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