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기동발전원으로서 BESS의 활용가능성 분석 및 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이미지
자체기동발전원으로서 BESS의 활용가능성 분석 및 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asibility Analysis and Capacity Estimation of BESS for Self-Starting Generators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 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

3D 모델의 구체성이 건축음향 시뮬레이션 및 가청화시재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
3D 모델의 구체성이 건축음향 시뮬레이션 및 가청화시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mplexity of 3D Modeling on the Acoustic Simulations and Auralized Sounds ​ 저자 박찬재, 한찬훈 소속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학술지정보 한국음향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음향학회 2011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초록> 본 논문은 건축음향 설계에 있어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3차원 모델의 구체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음향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odeon 6.5에서 제시하고 있는 transition order의 단계를 기준으로 3D 모델의 구체성을 총 4단계로 구분하였다. 각 실내마감재의 흡음률은 도면에 표기된 재료를 odeon의 material library 및 시험성적서를 참고해 입력하였으며 확산률은 odeon의 마감의 표면형태에 따른 권장치를 입력하였다. 또한 room setup 설정시 사용음선수를 동일하게 입력하였으며, trasition order는 각 모델의 유효표면수에 맞게 입력하였다. 실제 공연장에서 측정한 현장음향실험 결과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물리적 음향인자 (음압레벨, 잔향시간, 명료도 등)의 오차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청화시재를 제작하여 현장에서 녹음한 음원과 청감실험을 통해 비교하여 주관적 음향인자 (잔향감, 명료함 등)별 유사 정도를 평가하였다. 물리적 음향인자 분석결과, 가장 구체적인 3D모델의 잔향시간 오차가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명료도의 경우 단순한 모델의 오차가 가장 작았다. 그러나 단순한 모델은 저주파수 대역의 오차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남에 따라 3D 모델을 구체적으로 작성할수록 보다 정밀한 음향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관적 청감실험 결과...

합리적인 건설안전 관리를 위한 건설기술진흥법상 안전관리비의적정요율 산정에 관한 연구

이미지
합리적인 건설안전 관리를 위한 건설기술진흥법상 안전관리비의적정요율 산정에 관한 연구 저자 윤영근, 오태근, 이명구, 성주현, 정민형 소속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을지대학교, 한국시설안전공단 시설성능연구소, 한국시설안전공단 시설성능연구소 학술지정보 한국안전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안전학회 2018년 자료제공처 NRF 주제분야 공학 > 안전공학 ​ safety management costs,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execution plans of safety management cost,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cost, shedule rating system ​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 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

21세기 친환경 건설을 위한 low impact development(LID) 기술

이미지
21세기 친환경 건설을 위한 low impact development(LID) 기술 저자 김이형 학술지정보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발행정보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주제분야 농수해양 > 해양학 ​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 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

환경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구성 : 석면 위험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이미지
환경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구성 : 석면 위험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저자 박광수, 박범순 소속 여수 MBC 전략기획부 기자(부장),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학술지정보 ECO KCI 발행정보 한국환경사회학회 2015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NRF 주제분야 사회과학 > 사회학 , 공학 > 환경공학 ​ <초록> 최근 현대사회의 특징을 분석하는 틀로서 위험사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졌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석면에 대한 위험인식이 역사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에 주목하여, 환경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각 시대의 맥락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주장한다. 이러한 시각은 과학기술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과학지식의 사회적 구성주의’의 입장을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적용하여 얻은 것으로,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단순히 전문가와 대중 사이의 인식차이를 줄이기 위한 일종의 대중관계(public relations)의 도구로 보지 않고 역사적으로 그 내용이 변할 수 있는 지식의 발현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간지 석면 보도의 내용분석을 시도했다. 석면 위험이 처음 보도된 1966년부터 2013년까지 47년간,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매일경제신문 등 4개의 주요 일간지에 실린 총 918건의 보도내용을 분석하여, ‘외신’ 위주의 초기 보도시기를 거쳐 ‘산업보건’ 위주의 보도에서 ‘환경보건’ 관련 보도로, 보도 프레임이 뚜렷이 변했음을 보일 수 있었다. 더불어 위험에 대한 보도내용에 있어서도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초기에는 정부발표의 단순인용을 바탕으로 하는 스트레이트 기사가 주를 이루었는데, 개연성(위험노출 가능성)과 심각성(노출 뒤 피해 심각성), 효능감(피해 저감 방안 제시)이 포함돼 위험 메시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었던 보도의 수가 꾸준히 증가했다. 단순하든 심층적이든, 보수적이든...

실내 벽면녹화디자인 특성 연구 : 감성이미지 언어에 따른 선호도를 중심으로

이미지
실내 벽면녹화디자인 특성 연구 : 감성이미지 언어에 따른 선호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ndoor Green-Wall Design - With Focused on Preference of Emotional Image Language ​ 저자 이지현, 장영순 소속 한국폴리텍V대학, 숙명여자대학교 학술지정보 감성과학 KCI 발행정보 한국감성과학회 2011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한국학술정보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사회과학 > 심리학 ​ ​ <초록> 본 연구는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실내 벽면녹화 공간화의 영역확대와 복합적이고 다 학문적 관점으로써 관람자 선호요인을 파악하여 실내 공간디자인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실내 벽면녹화의 사례를 자극물로 선정하여 관람자 선호시점에 대한 요인의 상호 상관 관계성을 구체적이고 개별적 특성으로 추출해냄으로써 폭 넓게 확산되고 있는 실내 벽면녹화 공간영역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관람자들은 자극물에 대해 '쾌적한, 멋진, 풍요로운'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인지하고,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형용사 이미지 언어는 '시원한, 깔끔한, 자연스러운, 편안한, 아름다운' 이다. 자극물에 대한 선호디자인 요소의 공통되는 중요도는 색채>구성요소>이미지 형태 식물특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디자인 수준별 요소는 대비조>가구>모던 중심형 넝쿨성 관엽식물 순으로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는 실내 벽면녹화디자인의 정량적 측정에 관련한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방향제시의 기회를 갖는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This study examines potential growth and different perspectives on g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