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017의 게시물 표시

신재생 에너지자원에 대한 한·중 협력방안 연구

이미지
신재생 에너지자원에 대한 한·중 협력방안 연구 (A)study on cooperation methods of renewable energy research program between Korea and China 저자명 왕암 문서유형 학위논문(석사)발행정보한서대학교 |2014년 |행정학과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행정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351 -14-527)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초록> 국제유가의 지속적 상승, 기후변화에 따라 각국은 모두 수력, 풍력, 태양광, 바이오에너지 등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중 두 나라는 모두 동북아시아에서 경제가 제일 활기찬 국가 중의 하나이다. 동시에 세계적으로 에너지 소비가 제일 많은 에너지소비 대국이다. 에너지 자체가 계절의 단속성, 지역의 제한, 운송경로와 기술의 개발 등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일국가의 신재생에너지 산업화발전이 저조하여 한·중 두 나라 사이의 협력은 신재생에너지 산업발전의 상호이익을 가져올 것이다. ​ 한·중 수교 이래 두 나라 경제발전은 긴밀한 협력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고 미래에도 계속 양국이 신재생에너지방면의 협력이 가능할 것이며 한·중 두 나라 사이의 기술교류와 협력의 강화, 신재생 에너지자원의 활용 확대는 두 나라에 아주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 본 논문은 우선 한·중 두 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자원 발전현황을 기초로 하고 한·중 두 나라가 신재생 에너지 자원발전의 현황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두 나라가 직면한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두 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법규제도, 정책목표 ,재정투입, 구체적인 촉진정책을 제시하였다. ​ 또한, 한·중 두 나라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영역 협력의 시장과 기술의 분석에 근거하여 한·중 두 나라가 태양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풍력 에너지, 조력 에너지 등 여러 방면 협력의 장점 분석을 통하여 한·중 두 나...

가정용 열병합 시스템의 국내 도입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효과 예측

이미지
가정용 열병합 시스템의 국내 도입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효과 예측 Impact of Residential CHP Systems on Greenhouse Gas Emissions in Korea 저자명   강병하, 윤창호, 안준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19건학술지설비공학논문집 설비공학논문집 제25권 제10호 555p ~ 561p  발행정보   대한설비공학회 |2013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기타공학  서지링크DBpia , KISTI ,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초록> The effects of applying the micro CHP system to the domestic sector in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annual cooling and heating demand data. Four prime movers, micro gas turbine, PEMFC, gas engine and Stirling engine, were compared for three operational modes. Two way buy-back was assumed for both electricity and heat. The Stirling engine gave the lowest CO₂ emission per energy for 300kWh monthly electricity production. However, PEMFC became more effective when considering PURPA criteria. PEMFC generated the least greenhouse gas with higher electrical efficiency for cooling. The Stirling engine, however, became competitive for ...

창조경제를 이루는 지속가능 녹색도로

이미지
창조경제를 이루는 지속가능 녹색도로 저자명 노관섭 소속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한국도로학회지 제17권 제2호 통권64호 (2015년 6월) pp.46-50 1783-7140 발행정보   한국도로학회 |2015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도로/철도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25.8 ㄷ285) , DBpia , KISTI ​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 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과학에세이-현실과 환영의 건축기술

이미지
과학에세이-현실과 환영의 건축기술 저자명   김광현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과학과 기술 28(10) 66-67 1599-7340  발행정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5년 |한국어 주제분야   복합학 > 과학기술학|공학 > 공학일반  서지링크   KISTI <초록> ​ 건축은 첨단기술로 분류하지도 않는다. 삼풍백화점의 참사를 보고도 문제점의 맥을 짚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세계화를 위한첨단 건축 기술을 남의 것 아닌 우리 것으로 차분히 개척해 나가야 하겠다.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 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이미지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On Low-Carbon Green Waterfront Cities 저자명   권용우, 왕광익, 유선철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14건인용된횟수 도움말4건학술지대한지리학회지 제45권 제1호 통권 136호 (2010년 3월) pp.1-10 1225-6633 KCI 발행정보  대한지리학회 |2010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지역/지리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910.5 ㅈ571) , DBpia , KISTI ​ 저자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조성을 위한 방향설정을 위해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에 대한 사례를 검토하였다.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검토 결과 자원순환을 통한 에너지 절감, 시설 및 공간 집약적 토지이용계획, 대중교통 및 보행자 중심의 교통체계,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을 통한 에너지 저감 및 재활용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변도시에 적용을 위한 방향으로 ① 교통부문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압축형 도시공간구조, 복합토지이용,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 계획, ② 건물 및 일상생활에서의 신재생에너지 활용, ③ 탄소 흡수원 역할과 삶의 질을 높여주는 녹지공간 확보, ④ 물자원의 선순환구조 구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녹색수변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노력들과 더불어 다양한 해외사례 검토와 기술부문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조성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논하였다. Low-carbon green waterfront cities for overseas cases were reviewed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Korea. The implications suggested include energy saving by resource circulation, compact land use plann...

'녹색에너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

이미지
'녹색에너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  2012 대한민국 녹색에너지대전(2012 KOREA GREEN ENERGY SHOW) 저자명   에너지절약 전문기업협회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ESCO지  79 30-35  발행정보  2012년 |한국어 주제분야사회과학 > 경영학   서지링크  KISTI   작년 9월 15일, 정전대란이 일어났다. 우리나라도 이제 전력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블랙아웃에 절대 안심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최근 전력수급과 에너지 효율성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시점에 열린 2012 대한민국 녹색에너지대전은 '제4의 에너지'로 일컬어지는 신재생과 '제5의 에너지'인 에너지절약을 강조하는 행사로 다양한 에너지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법을 제시하였다.  지난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2012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서 대체에너지 생산과 에너지절약에 대한 지혜를 발견할 수 있었다. 녹색에너지대전, 신재생에너지대전, 녹색일자리엑스포 등 3가지 행사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었으며 '에너지절약시설자금 투자설명회'가 개최 돼 녹색에너지와 에너지절약을 궁금해 하는 일반인들과 에너지절약기업의 큰 관심을 끌었다.  '2012년 대한민국 녹색에너지대전'은 에너지, 기후, 신재생 분야의 최신 제품, 기술, 정보 등 녹색 교류의 장이자, 동북아대표 기술교류 허브(Hub)로써 에너지효율, 기후변화-신재생에너지등 미래 에너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행사로 평가된다. 또한 에너지절약 차원으로는 에너지효율 향상을 주도하는 제품 및 기술 제안하여 보일러, 고효율조명, LED, 단열재, 하이브리드 자동차, 고효율가전기기, 전력수요관리설비 등 에너지효율 향상 제품이 전시되었고 기후변화대응과 녹색정책 및 기술 발표가 이어져 에너지 관련 공공기관, 협회 등 정책, 사업, 기...

공동주택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 건축물인증기준의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이미지
공동주택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 건축물인증기준의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Green-building Certifications for Energy Conservation in Apartment Housing 저자명  강병환 문서유형  학위논문(박사)발행정보경상대학교 |2010년 |건축공학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90 -10-457)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건축물은 국가 전체 에너지 소비량에 있어 그 비중이 높고, 배출되는 오염 양으로 인한 환경부하의 비중이 높다. 특히 우리나라 같이 공동주택의 주거 비율이 높은 나라의 경우 그 대책이 시급 한 것이 사실이다. 현 정부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과 UN기후변화협약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 정책을 통하여, 에너지 절약 및 환경부하 절감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중 실질적인 제도의 한가지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시행 과정 중 발생한 혼선과 제도적 미비점으로 만족한 결과나 실질적인 효과가 떨어진 것이 사실이다. 공동주택 에너지절약 활성화를 위한 목적으로, 인증기준 중 공동주택 건축물 그 중 에너지 부문으로 한정하여, 문제점과 그 개선안을 제안코자 본 연구를 진행 하였다.  그동안 국내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 제도는 정부의 주도하로 진행되었으나, 변화하는 건설 현장 여건에 효율적인 반영의 어려움, 친환경 건축물 인증 평가서 작성의 어려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없는 시스템적 문제점 등이 대두 되었다. 그리하여, 정부에서는 2006년 개정되어 사용된 인증평가기준을 2010년 5월 17일자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301호, 환경부고시 제2010-52호로 최근 개정고시 하였다.  개정 고시안을 검토 한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문제점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