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시아 지역의 바이오매스 연소 활동이 지역 대기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
동북아시아 지역의 바이오매스 연소 활동이 지역 대기 환경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Northeast Asian Biomass Burning Activities on Regional Atmospheric Environment 저자 이권호 학술지정보 한국지리정보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년  주제분야 사회과학 > 지역/지리 <초록> 바이오매스 연소 활동은 인위적 또는 자연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며 연소과정에서 다량의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와 대기 에어러솔은 대기환경 저해와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바이오매스 연소 활동에 대한 감시와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동북아 지역의 바이오매스 연소 활동의 현황과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지구관측 위성인 Terra/MODIS 관측 자료를 이용하였다. 바이오매스 연소의 발생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주 연료가 공급되는 토지피복과 계절별 변화에 의존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토지피복과의 관련성과 시간에 따른 현황과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장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녹지대 또는 상록수림 지역에서의 발생수가 많았으며, 경작지에도 많은 발생횟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기 오염물질 중 하나인 대기 에어러솔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내는 에어러솔 광학두께자료와 연소 자료와 비교결과는 두 산출물간 뚜렷한 연중 변화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바이오매스 연소 활동이 지역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하였으며, 중국대륙에서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지역 대기환경 및 기후변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Biomass burning activities(BBA) are caused by both natural and anthropogenic origins. Due to emissions of greenhouse gas...

충남 보령지역의 폐석면 광산에서 산출하는 투각섬석 석면의 특성

이미지
충남 보령지역의 폐석면 광산에서 산출하는 투각섬석 석면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remolite Asbestos from Abandoned Asbestos Mines in Boryeong Area, Chungnam ​ 저자 윤근택, 황진연, 오지호, 이효민 학술지정보 한국광물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광물학회 2010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한국학술정보 국립중앙도서관 한국연구재단 유료원문 한국학술정보 주제분야 자연과학 > 지구과학 키워드투각섬석, 석면, 섬유상, 종횡비, 편광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초록> 국내에서 투각섬석 석면이 채굴되었던 충남 보령지역의 석연광산인 중앙(신석)광산과 대보석산 광산에 대해서 투각섬석의 산출상태, 수반광물, 광물학적 특성, 형성과정을 연구하였다. 이곳의 투각섬석은 아주 긴 섬유상과 함께 침상, 도변상, 주상의 여러 형태가 같이 공존하였다. 유해석변의 기준에 해당되는 투각섬석에 대해 편광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형태를 분석한 결과, 길이가 최대 210 ㎛에 해당되는 입자도 있으나 평균치로는 31.2 ㎛이고, 폭은 평균 1.6 ㎛이며 종횡비는 평균 19.9이었다. 투각섬석의 신장방향에 대한 소광각은 6.1~20.2o의 범위로 모두 사소광의 성질을 나타냈다. 석면상과 비석면상 투각섬석의 XRD 패턴도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다. EPMA의 분석 결과, 이곳의 투각섬석은 Mg성분이 Fe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서 Mg단종인 투각섬석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석면상과 주상의 투각섬석은 형성조건이 다소 다르며 석면상이 후기에 형성된 것으로 검토되였다. We studied the geological occurrence, associated minerals, mineralogical properties and formation process of tremolites from two abandoned asbestos mines...

원천기술 보유업체의 ESCO 사업 참여 유도방안

이미지
원천기술 보유업체의 ESCO 사업 참여 유도방안 Study on the Measure to Encourage ESCO Business for Companies with Core Technology ​ 저자 임기추 학술지정보 에너지공학 KCI KCI Candidate 발행정보 한국에너지학회 2014년 피인용횟수 0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자원공학  <초록> 원천기술 보유업체의 ESCO 사업 참여 유도방안은 구체적 설정내용에 따라 원천기술 보유업체의 정책적 선호정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장비 설비 제조 및 시스템 기술을 보유한 원천기술 보유업체의 ESCO 사업에 대한 참여를 위한 유도방안은 평가점 우대방식, 저리대출의 지원액 할당방식 및 컨소시엄 참여방식으로 설정하였다. 이 중에서 평가점 우대방식으로 우선 유도하는 방식이 ESCO 정책자금 추천심사 평가항목 및 평가배점 제도 상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현재 정부 지원자금의 대폭적 책정을 전제하는 경우, 특정규모의 지원액 할당을 통해 원천기술 보유업체의 ESCO 사업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을 차선책으로 고려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measure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ESCO business for companies with core technology may vary on the conditions of preference policy considerations. Accordingly, the three measures are can be suggested, evaluation points for incentives, loan allocated to a separate, and participation with consortium.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evaluation points fo...

우리나라 일부 석면 함유제품에 대한 실태조사

이미지
우리나라 일부 석면 함유제품에 대한 실태조사 저자 김윤신 학술지정보 공기청정기술 KCI 발행정보 한국공기청정협회 2009년 피인용횟수 0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asbestos containing products(ACP) such as asbestos cement products, asbestos friction materials, asbestos joint sheets, asbestos textile products, and other asbestos-containing products from May 2 to July 30, 2007 in Korea. The information of ACPs was obtained through the written questionnaires from 16 companies of all 27 that produce those. The production amounts of the asbestos containing gasket were 70 ton in 2004, 90 ton in 2005, and 55 ton in 2006 in 4 companies and the that of asbestos friction materials were 435.5 ton in 2004, 540.4 ton in 2005, and 454.3 ton in 2006 in 10 companies. The type and number of ACPs were asbestos cement and 19 products in 2 companies, asbestos friction materials and 47 in 18, asbestos joint sheets and 12 in 4, asbestos textile products ...

건물 구조 특성에 따른 기밀성능 및 난방 에너지 요구량 분석 : 신축 공동주택 중심으로

이미지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기술동향 저자 유철로 학술지정보 전력전자학회지 발행정보 전력전자학회 2011년 피인용횟수 2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분야 공학 > 전기전자공학  <목차> 1. 서론 2.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의 개요 3.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기술동향 4.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과제 및 전망 5. 결론 r$.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 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탄소저감형 고효율 단열 및 축열 재료 개발 동향과 적용 제품 시스템 조사·분석

이미지
탄소저감형 고효율 단열 및 축열 재료 개발 동향과 적용 제품 시스템 조사·분석 A strategic review and planning for low carbon high-efficiency thermal insulation and thermal storage materials and its application systems ​ 발행정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17년 피인용횟수 0 자료제공처 KISTI 주제분야 농수해양  <초록> 개발의 목표 ㅇ 저탄소형 고효율 단열재 개발 후보군 발굴 및 중장기 기술로드맵 수립 ㅇ 건축물, 냉난방 공조시스템, 열에너지 저장, 섬유, 조선 및 수송, 전자 및 헬스 케어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는 PCM 응용 제품에 대한 사례 조사 및 지속가능성 평가 ㅇ 상변화물질(PCM)을 활용한 새로운 에너지 고효율 비즈니스 모델 발굴 개발내용 및 결과 ◦ 친환경 고효율 단열재 관련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분석 - 미네랄울 및 폴리우레탄 등 전통 단열재에 대한 기술 개발 현황 조사 - VIP(Vacuum Insulation Panels), VIM(Vacuum Insulation Material), DIM(Dynamic Insulation Material) GFP(Gas Filled Panels) 등 최신 및 미래형 단열재에 대한 특·장점 분석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활용 “단열” 관련 지난 10년간 정부에서 지원된 과제 검색 및 내용 분석 - 진공단열판넬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 사례 조사 - 중장기 기술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단열재 소재별, 용도별, 구조별 장단점 분석 - “4mW/(m·K)이하급 저비용 복합재료 충진형 진공단열판넬(VIP) 개발” 관련 RFP 기획 1건 ◦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는 PCM 응용제품에 대한 특성 분석 및 지속가능성 평가 - PCM 관련 시장에 대한 심층 조사 - PCM 적용 고효율 건축자재와 응용 소재 개발 동향 조사 및 기술 특성 분...

주상복합건물에서 단열 경계구역 축소에 따른 에너지 절감량 변화에 관한 연

이미지
주상복합건물에서 단열 경계구역 축소에 따른 에너지 절감량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ergy-saving Variation by the Reduction of Insulation Boundary in Mixed-use Building 저자 김대원, 김영일, 김성민, 조진환, 정광섭 학술지정보 에너지공학 KCI KCI Candidate  발행정보 한국에너지학회 2012년  피인용횟수 자료제공처국회도서관 KISTI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자원공학 <초록> 지구온난화 및 에너지 고갈로 인해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향상은 시대의 흐름으로 인식되고 있다. 건축물의 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결국 패시브 요소를 적용해야 한다. 그런 첫발걸음이 단열경계에 대한 새로운 기준 적용이라 생각한다. 현재 고시된 단열경계선 기준의 경우 경계가 적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도별로도 구분되어있지 않다. 이로 인해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으며, 민원 또한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단열선 적용에 있어 난방과 비난방, 공조와 비공조 구간을 구분하고 건물을 용도별로 보다 더 세분화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용도별 단열경계와 적용 가능한 기준을 마련하여 정확한 실제 난방면적과 공조면적을 제시한다. 이렇게 제시된 실제 난방과 공조면적, 용도별 단열 경계기준선을 통해 장비의 적정한 용량과 부하의 일치를 기하고 최적의 유지관리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실 거주자의 환경개선뿐 아니라 에너지 절감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energy exhaustion,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of construction is recognized the stream of t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