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C분석 기법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최적 설계 방안 연구

이미지
LCC분석 기법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최적 설계 방안 연구 A Study of renewable energy optimal design using the LCC analysis 저자명 송호열, 김정욱 소속기관 상명대학교 에너지그리드학과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10건 학술지 에너지공학 제24권 제2호 통권 제82호 (2015년 6월) 발행정보 한국에너지학회 |2015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자원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 한국연구재단 <초록>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 6위인 우리나라는 건물의 운영과 유지 및 관리에 소비되는 에너지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자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을 통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하는 공공의무화 제도(RPS)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되었던 기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에너지원별로 적정 조합 및 적용 비율을 도출하였고, 동적 에너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에너지소비량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산출된 결과를 토대로 초기투자비, 에너지비, 보수교체비, 유지관리비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지열 100% 조합이 총 비용 2,105,974,344원으로 총 생애주기 비용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Korea ranking sixth out of The world's greenhouse gas emissions, all Korean public buildings have to implement obligatorily renewable energy systems for energy production to reduc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energy consumed in oper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buildings. The optimum combination and application r...

다양한 바이오매스의 분쇄도 실험을 통한 미분탄 화력발전 적용가능성 연구

이미지
다양한 바이오매스의 분쇄도 실험을 통한 미분탄 화력발전 적용가능성 연구 Applicability of Various Biomasses to Pulverized Coal Power Plants in Terms of their Grindability 저자명 강별, 이용운, 류창국, 양원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청정기술 23(1) 73-79 1598-9712 KCI 발행정보 한국청정기술학회 |2017년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서지링크 KISTI  <초록>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측면에서,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바이오매스 사용량은 계속하여 증가되어 왔다. 파리 협정 이후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가 더욱 구체화되면서 바이오매스 사용은 급격히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분탄 석탄 화력발전에서 바이오매스 혼소시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바이오매스의 미분성이 석탄에 비해 훨씬 낮다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먼저 바이오매스의 미분성 측정 방법을 확립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석탄의 경우 HGI (hardgrove grindability index)측정 장치를 통해 분쇄도 측정이 가능하여 이를 표준으로 삼고 있지만, 바이오매스의 경우 표준 측정 방법이 확립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볼 밀과 입자 크기별 분포량을 이용한 석탄과 바이오매스의 분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는 석탄 1종과 바이오매스 6종을 사용하였다. 분쇄시간에 따른 입자 분포량을 비교하고, $75{\mu}m$ 이하 입자 분포량으로 분쇄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반탄화 바이오매스 TBC (torrefied biomass chip)와 TWP (torrefied wood chip)는 발전용 사용적합 기준에 대해 대략적으로 70%의 값을 나타냈다. 다른 바이오매스들의 경우 반탄화 바이오매스와 비교했을 때 분쇄성이 훨씬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TBC와 TWP는 수분이 감소하고 섬유질 구조가 분...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이미지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Following the Alleviation of the Limit on Number of Floors of Apartment Complexes 저자명 류지원, 정응호, 아키라 호야노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10건 인용된횟수 도움말2건 학술지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2권 제3호 (2011. 6) pp.93-100 2234-3571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1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가정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43.10951 ㅎ155)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 학지사 뉴논문 , 한국연구재단 ​ <초록> 본 연구는 도시열섬현상의 주요한 원인인 일반주거지역내 토지피복의 변화와 주거환경정비시 무분별한 고층개발에 의한 공동주택의 아파트로 치중되는 점에 주목하여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2종일반주거지역의 공동주택 건축물층수완화가 공동주택단지의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반주거지역 종세분 조정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현 시점에서 공동주택단지의 층수완화를 조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되며, 향후 공동주택단지 계획·수립시 도시기후적 관점에서 열환경을 고려한 친환경수법의 계획적용을 지원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objective data which can be utilized as an adjustment criterion for the alleviation of the limit on the number of floors of buildings by quantitatively evaluates the effect of the alleviation of the...

ESCO 에너지절약 MRV 계획서 및 결과서 표준양식 개발방안 연구

이미지
ESCO 에너지절약 MRV 계획서 및 결과서 표준양식 개발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for ESCO MRV Plan and Result Reporting Outlines to ESCO Energy Conservation Business 저자명  임기추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에너지공학 제25권 제3호 통권 제87호 (2016년 9월) 157-164 1598-7981 KCI후보 발행정보  한국에너지학회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자원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333.7 ㅇ242) , KISTI <초록>   본고의 목적은 ESCO 규정에 의한 정책자금 신청시와 에너지사용자 ESCO 기업 간의 에너지절약성과 보증계약 체결에 의한 에너지절약시설 설치로 발생되는 에너지절감량을 측정 평가시에 필요한 MRV 계획서 결과서 표준양식 개발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MRV 계획서 및 결과서는 에너지절약시설의 설치목적 및 효과를 충실히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된 에너지절감량과 결과에 대한 측정 검증 보고 목적으로 작성된다. 본고에서는 MRV 계획서 및 결과서의 양식에 대한 세부설명과 작성방법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 MRV 계획서 및 결과서 표준양식 개발 결과를 바탕으로 ESCO 기술분야 설비별 적용사례 등을 감안한 MRV 계획서 및 결과서 작성 가이드라인 제시방안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create standard forms of MRV plan and report, used when policy funds a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ESCO regulations, when energy savings are measured (the savings would be generated as energy ...

저에너지 건축물 구현을 위한 컨설팅 사례 - LH 본사 신사옥

이미지
저에너지 건축물 구현을 위한 컨설팅 사례 - LH 본사 신사옥 The Pilot Project to Realize Low Energy Building 저자명 안형준, 박창영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2 1598-6411 발행정보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4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기타공학  서지링크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perform case of new LH building which is one of 10 public buildings in Green Pilot Project. total 27 of energy-saving technologies are applied in order to be low energy building that is expected 134.8kWh/㎡·yr energy consumption. As the new technology, the new LH building is the representative model of Green Pilot Project.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 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GIS를 이용한 지하광산 디젤 차량의 운반작업 시 탄소배출량 산정

이미지
GIS를 이용한 지하광산 디젤 차량의 운반작업 시 탄소배출량 산정 Calculation of a Diesel Vehicle's Carbon Dioxide Emissions during Haulage Operations in an Underground Mine using GIS        ​ 저자명 박보영, 박세범, 최요순, 박한수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터널과지하공간 제25권 제4호 통권117호 (2015. 8)  발행정보 한국암반공학회 |2015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자원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 한국연구재단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지하광산 현장에서 운영되는 디젤 차량의 탄소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국내 지하 석회석 광산 한 곳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고, 연구 지역의 운반도로를 3차원 벡터 네트워크 형식으로 표현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탄소배출계수의 계산을 위해 운반도로의 각 구간별로 대형 디젤 차량인 덤프트럭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운반도로 각 구간별로 계산된 탄소배출계수와 GIS 기반의 최적 경로분석을 통해 결정된 트럭의 운반거리를 고려하여 운반작업과 관련한 디젤 차량의 탄소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다. 광업 분야에서 디젤 차량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광산 현장의 탄소배출량 산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to calculate carbon dioxide emissions of diesel vehicles operated in an underground min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그린홈 주거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창원시 그린홈 거주자를 중심으로

이미지
그린홈 주거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창원시 그린홈 거주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Selection Attributes of GreenHome Residence : Focused on GreenHome Residents in Changwon City 저자명 박창주, 박세운, 신철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36건 학술지 산업경제연구 제27권 제2호 통권112호 (2014. 4)  발행정보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경제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한국연구재단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린홈 거주자의 주거선택요인이 무엇인지, 이들 선택요인이 주거만족도와 충성도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린홈 거주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주거형태가 주거선택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창원시 단독주택형 그린홈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한 322장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그린홈 선택요인인 경제성, 지원제도, 유지보수, 설치용이 등은 주거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설비효율 요인은 주거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만족도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 학력, 거주지역, 월 평균 가구소득 등은 선택요인과 주거만족도간에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택크기는 조절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 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