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전략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요인 분석 : 생태적 근대화 전략을 중심으로

이미지
기후변화 대응전략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요인 분석 : 생태적 근대화 전략을 중심으로 저자 황인창 소속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학술지정보 ECO KCI 발행정보 한국환경사회학회 2008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NRF 주제분야 사회과학 > 사회학 , 공학 > 환경공학 ​ #생태적근대화 , #기후변화정책 , #co2배출 , #생태적근대화 , #기후변화정책 , #co2배출 , #녹색건축인증 ​ <초록> 생태적 근대화론은 1980년대 이후 북서유럽을 중심으로 한 환경정책 형성과정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전통하에서는 경제성장과 생태위기의 극복 특히 전통적인 환경문제의 해결 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는 것이라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생태적 근대화론이 과연 기후변화문제와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도 충분하지 않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생태적 근대화론과 기후변화정책의 관련성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통계적인 방법론 LMDI 을 활용해 기후변화대응 전략에 따른 이산화탄소 CO2 배출 변화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생태적 근대화 전략이 다른 전략에 비해 기후변화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다고 볼 수 있었으나, 그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유용한 전략이 되기 위해서는 독일에서와 같이 보다 강해져야 한다. ​ <목차> 기후변화 대응전략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요인 분석 : 생태적 근대화 전략을 중심으로 / 황인창 1 [요약] 1 1. 서론 2 1) 연구 목적 2 2) 연구 방법 3 2. 생태적 근대화와 기후변화정책 관련성 5 3. CO₂배출 변화요인 분석 8 1) 방법론 8 2) 군집분류 및 분석 14 3) 시계열 분석: 영국과 독일, 미국, 한국 17 4) 부문별

지역 및 에너지소비패턴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최적설치각 해석

이미지
지역 및 에너지소비패턴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최적설치각 해석 저자 전용준, 박경순 소속 동의대학교, 동의대학교 학술지정보 한국지열에너지학회논문집 KCI 발행정보 한국지열에너지학회 2018년 자료제공처 NRF 주제분야 공학 > 전기전자공학 ​ #태양열 , #급탕시스템 , #시뮬레이션 , #유효에너지 , #녹색건축 , #태양광 , #집열기 , #신재생 ​ <초록> Solar energy depends on the altitude and azimuth of the sun, and the amount of energy collected onthe slope depends on the latitude of the area being installed. However, since most solar heating systemsare fixed to the grou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optimal installation angle from the early designstage. However, problems arise when energy consumption is not considered together because heatingsystems are not used in the summer In this study, the optimum installation angles of the solar collectorsaccording to the latitude of the installation area are not simply determined by the amount of energycollected, but because the system is overheated due to climate change or energy usage patterns, Andthe amount of additional energy input.

인텔리전트 빌딩을 위한 저 전력 주차관리 시스템

이미지
인텔리전트 빌딩을 위한 저 전력 주차관리 시스템 A Low Power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Intelligent Building ​ 저자 이창기, 임형규 소속 신경대학교, 신경대학교, 신경대학교 학술지정보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KCI 발행정보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주차관리시스템 , #주차타일 , #주차디스크 , #지능형빌딩 , #녹색건축인증 , #녹색건축인증연구소 , #인텔리전트빌딩 ​ <초록>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에서 주차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주차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동시에 다수의 센서, 디스플레이와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아주 소량의 전기 에너지 만을 소모한다. 친환경 빌딩 설계의 요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주차관리 시스템의 운용 전력 감축 문제가 이슈화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차관리 시스템의 감지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계와 소비 전력 감축의 결과를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무선 Park Tile 과 Park Disk를 사용하여 전력소비를 감축 시키고, 여러 개의 주차 공간 감지기와 자동차 카운터,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안내 터미널과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스템구조 설계와 통신망 설계, 주차 정보 서비스 시나리오 계획, 배터리 수명 제어, 운영전력 평가 등이 수행되었다. 주차장당 운영전력은 0.93KW로 평가 되었으며, 이는 기존 시스템의 20%정도 이고 매년 유지비는 기존 시스템에 비해 18%에 해당된다. ​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can increase driver's convenience with detailed parking information service in the parking lot. At the same time, parking management system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환경법·정책적 소고

이미지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환경법·정책적 소고    저자 소병천 소속 아주대학교학술지정보환경법연구 KCI 발행정보 한국환경법학회 2018년 자료제공처 NRF 주제분야 사회과학 > 법학 ​ #미세먼지 , #1차미세먼지 , #2차미세먼지 , #미세먼지의개념 , #미세먼지의측정 , #녹색건축인증연구소 ​ <초록> 최근 환경 분야의 가장 큰 현안 중 하나인 미세먼지 문제는 보건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에 비하여 두드러진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미세먼지를 포함한 모든 환경문제는 문제 자체에 대한 분석이 있어야 효율적 해결책도 제시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환경법적 관점에서 단순히 미세먼지에 대한 전반적인 법제도를 살펴보는 대신 미세먼지 문제 분석 후 이에 근거하여 올바른 대응책을 위한 선행과제는 무엇인지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과제로서 첫째, 해결 대상인 미세먼지의 개념 자체가 환경법제에서 명확히 규정되어 규제되고 있는지, 둘째, 문제해결의 시작인 미세먼지 측정이 정확히 되고 있는지 검토한다. 이러한 검토 후 본 연구는 첫째, 미세먼지 측정 자체가 현재 과학기술 상 어렵다는 점에서 미세먼지 정책은 미세먼지 측정기술에 대한 R&D에 우선 순위를 두어야 하며, 둘째, 미세먼지를 대기환경보전법에서 대기오염물질로 독립하여 규정하고 그 배출허용기준 역시 명확히 설정하며, 셋째, 현행 배출허용기준 검토에 근거하여 노후 화력발전소와 경유차에 대한 집중적 관리를 제안하고 있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 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

우리나라의 중점녹색기술수준 조사·분석 및 시사점

이미지
우리나라의 중점녹색기술수준 조사·분석 및 시사점 The Survey and Analysis of Technology Level on Korea’s Key Green Technologies and its Implications ​ 저자 홍미영, 황기하, 홍정석, 이경재 소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학술지정보 한국기술혁신학회지 KCI 발행정보 한국기술혁신학회 2013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NRF 주제분야 복합학 > 기술정책 ​ #기술수준 , #기술격차 , #중점녹색기술 , #델파이조사 , #녹색건축인증연구소 , #친환경 , #건축물 ​ <초록> 우리나라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새로운 국가발전 패러다임으로 제시한 이래로 ‘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책(’09.1)’을 통해 27대 중점 녹색기술을 도출하는 등 녹색성장의 중심으로 녹색기술 개발 전략을 수립・추진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녹색기술 전문가 집단이 참여하여 델파이 조사 기법을 활용한 27대 중점 녹색기술 내 총 131개의 전략제품・서비스 기술을 대상으로 기술수준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1년 기준으로 중점 녹색기술 전체에 대한 주요 5개국의 기술수준은 세계최고기술보유국(미국) 대비 EU(99.4%), 일본(95.3%), 한국(77.7%), 중국(67.1%) 순이며, 한국은 5개국 중 4위를 차지하였다. 세계최고기술보유국(미국)과 한국과의 기술격차년수는 4.1년으로 EU(3.9년), 일본(3.1년)에는 뒤져 있는 반면, 중국에는 2.1년 앞선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이 가장 높은 중점 녹색기술은 ‘개량형 경수로 설계 및 건설기술(90.1%)’이며, 이어서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85.0%)’, ‘고효율 저공해 차량기술(84.5%)’ 순으로 나타났다. 중점 녹색기술의 투자유형에 따른 기술수준은 단기(85.0%), 중기(7

의료시설에서 자연과 건축공간의 관계 구성에 대한 연구

이미지
의료시설에서 자연과 건축공간의 관계 구성에 대한 연구 저자 윤은지, 임영환 소속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 학술지정보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발행정보 대한건축학회 2018년 자료제공처 NRF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 #의료시설 , #치유환경 , #지역거점공공병원 , #외부공간 , #자연 , #건축공간 , #실내디자인 , #녹색건축인증연구소 ​ <초록> 의료시설 건축의 중요한 목적은 사용자의 치유와 건강증진인 만큼 기술, 기계적 성능뿐 아니라 의료시설을 사용하는 사람들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다수의 선행연구가 치유환경은 자연환경과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증명하지만, 계획으로 이어지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며 치유환경으로서의 자연을 선행연구를 통해 정리하고, 건축과 자연의 관계 구성을 범주화한다. 이에 따라 국내 지역거점공공병원 7곳의 현황을 파악하고, 건축 내외부공간과 자연의 구성이 어떻게 나타나며, 개선점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저희   (주)한국녹색인증원은  '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 '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 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한국녹색인증원은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 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 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녹색인증원은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